흑룡강성 A급록색식품벼 생산기술 조작규정 |
|
|
|
|
|
|
|
흑룡강신문=하얼빈 2008.12.2
6. 본답관리
6.1 추비
모내기후로부터 분얼전까지 NY/T394요구에 부합된는 비료를 사용해야 하는데 헥타르당 모사름분얼비료뇨소 75킬로그램을 내며 7월15일전후에는 헥타르당 이삭비료뇨소 15~22.5킬로그램을 낸다.
6.2 물대기와 논말리기
6.2.1 모보호수
모내기후 모사름전에 벼모높이의 3분의2 정도로 물을 대 모를 부축하여 모보호를 한다.
6.2.2 분얼수
유효분얼기에 3센티미터가량의 옅은 물을 대여 온도를 높이고 분얼을 촉진한다.소다염기알칼리성 토질에서는 7~10일에 한번씩 물을 바꾸어 주어야 하며 전 생장기에 옅은 물관리를 실시하고 9월초에 물을 뗀다.
6.2.3 논말리기
유효분얼 중기전에 3~5일간 물을 빼고 논을 말리는데 논바닥이 갈라져 흰뿌리가 보이고 잎이 꼿꼿하고 색이 옅을 정도로 말리워야 한다.5~7일간 말리운후 정상적인 수층으로 회복한다.소다염기알칼리성 토양과 수세가 차한 곳에서는 논말림이 적합하지 않다.
6.2.4 호태수(护胎水)
이삭배기로부터 이삭이 패기전까지 4~6센티미터의 흐름물관개를 한다.지하수관개구에서는 간헐(间歇)관개를 해야하며 저온에 부딛치면 10~15센티미터의 깊은 물을 대여 태아보호를 해야한다.
6.2.5 화분기 물알드는 시기의 물대기
이삭이 패는 화분기에 5~7센티미터의 흐르는 물을 관개한다.물알이 들기 시작해서 랍숙기(腊熟期까지는 간헐관개를 하여 논이 말랐다 젖었다 하게하는데 젖는것을 위주로 해야 한다.
6.2.6 황숙기의 물대기
황숙초기부터 배수하기 시작하는데 와지는 적당히 일찍부터 물을 빼기 시작해야 하며 물이 새는 논은 적당히 늦게 시작한다.
|
|
|
|
Can not find mark:chnavor_blog
|
|
|
Can not find mark:chnavor_layer_qrsc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