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력설이 점점 다가오고 있다. 1월 22일, 우리는 2023년 음력설을 맞이하게 된다. 천문학 과학지식보급 전문가들이 소개한데 의하면 2023년 음력설은 21세기라는 이 100년 동안 두번째로 일찍한 음력설로 21세기 가장 일찍한 음력설보다 단 하루 늦다.
음력설은 매년 음력으로 정월 초하루이지만 양력에서의 기일은 고정되여 있지 않다. 중국천문학회 회원이며 천진시 천문학회 리사인 양정이 소개한데 의하면 양력은 지구가 태양을 둘러싸고 한바퀴 공전(하나의 회귀년)하는 운동주기로 제정하는 력법으로 일년은 12개 월로 나눈다. 무릇 양력 해수가 4로 나눌 수 있는 해는 윤년으로 366일이고 나누어지지 않는 해는 일반년으로 365일이다. 하지만 전반 세기년 이를테면 2000년, 2100년……에서 앞 두자리수가 4로 나누어져야만이 윤년이 될 수 있다. 그렇지 못할 경우 평년이 된다. 때문에 매 400년 마다 97개 윤년이 있게 된다.
음력은 우리나라 전통적인 력법으로 이미 수천년의 력사를 지나왔다. 음력은 음양 합력으로 월상의 변화에 따라 변한다. 삭망월 하나로 매달 며칠이 있는지를 배정한다. 하나의 삭망월의 평균 길이는 29.53일이다. 전년 12달이니 도합 354일 혹은 355일이 되며 353일이 되는 경우는 극히 적다.
그러면 음력으로 1년 날자 수는 양력의 1년 날자 수보다 11일 정도 적게 된다. 해마다 최소 11일 적다하면 3년이면 1개월 남짓이 적게 되고 16년이면 루적으로 반년이라는 격차가 벌어지게 된다. 이 두 력법의 이와 같은 “시간적인 격차”를 미봉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지혜로운 고대인들은 매 19개 음력년마다 7개 윤달을 증가했다. 즉 19년에 7개 윤달이 든다. 윤달이 소재한 년은 윤년이라고 한다. 윤년을 정하는 법칙은 24절기에 따라 확정한다. 때문에 매 윤년의 윤달 위치도 다 같지 않다. 례하면 2014년은 9월이 윤달이였고 2020년은 4월이 윤달이였으며 2023년은 2월에 윤달이 든다. 이로써 음력설과 대응한 양력 날자가 때론 일찍하고 때론 늦게 되는 것이다.
양정은, 21세기를 놓고 말할 때 가장 일찍한 음력설은 양력 1월 21일에 나타나고 가장 늦은 음력설은 양력에서 2월 19일에 나타나게 된다. 량자사이 근 1달 남짓한 차이가 있다. 이번 100년에서 가장 일찍한 음력설은 두번 나타난다. 2061년과 2099년이다. 그리고 두번째로 일찍한 음력설은 도합 4번 나타난다. 각기 2004년, 2023년, 2042년, 2080년이다.
“중국 전통적인 력법은 유구한 력사를 가지고 있고 해와 달의 운행의 변화를 고루 돌보면서 더 많은 자연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기능도 더 풍부하다. 따라서 음력설의 양력 날자는 일찍할 때도 있고 늦을 때도 있다. 이로써 “음력설의 문화적 내포가 더 풍부해졌고 음력설은 더 다양하고 다채로와졌다”고 양정은 말한다.
출처: 중국조선어방송넷
편집: 왕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