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접종방식은 대부분 근육주사로서 흔히 팔에 접종한다. 이 밖에 척수회백질염바이러스 ‘당환’백신과 같이 복용하는 백신이 있는가 하면 피하에 접종하는 홍역백신 등도 있다.
팔이 가장 흔한 백신접종부위로 된 데는 아래의 몇가지 방면의 요소와 관련된다.
1.백신의 근본적인 목적은 인체의 면역반응을 자극해 이런 병원체를 기억하게 함으로써 다음에 이런 병원체가 침범했을 때 신속하게 반응하여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데 있다.
인체의 림파선은 면역시스템의 관건적 부분으로 백신접종이 림파선부위와 가까울 수록 면역반응자극에 더 유리하다. 많은 백신은 모두 팔의 삼각근부분에 접종하는 데 이는 삼각근과 겨드랑이 아래 림파선의 거리가 아주 가깝기 때문이다.
백신을 다리에 접종해도 서혜부 림파절 집결위치와도 거리가 멀지 않다.
2.근육주사는 백신반응을 국부에 남아있게 하는데 지방조직 아래에 주사하면 빨갛게 부어오르는 반응이 더 엄중할 수 있다.
근육의 크기도 주사부위 선택에 영향을 주는데 3세 이하 어린이의 팔근육조직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근육에 주사하는 백신을 접종할 때 흔히 서혜부 림파절과 가까운 다리에 접종한다.
3.편리함의 각도로 볼 때 팔에 접종하는 것은 조작이 가장 편리하고 쉽게 받아들일 수 있다.
//korean.people.com.cn/65106/65130/70075/15982396.html
출처: 인민넷 조문판
편집: 왕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