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동북의 흑룡강, 우수리강, 송화강이 충적돼 형성된 평원 지대에서 사물인터넷, 5G 등 새 세대 정보기술과 우주, 항공, 지면 일체화 지능 감지 시스템을 기반으로 대규모 스마트 농장 건설 프로젝트를 가동했다.
디지털기술은 농업의 발전방식을 전환하고 고품질 발전을 실현하는 엔진의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현재까지 흑룡강성에서는 "계량화 관리, 데이터 활용 가능, 경험 복제 보급 가능"을 실현한 여러 개의 스마트 농장군을 건설해 논과 밭 경작, 관리, 수확 전 과정 무인화작업을 실현해 전국 선두를 달리고 있다.
2021년 5월 11일 흑룡강성 한 지혜농업센터에서 직원이 무인이앙기 작업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다.(신화사 기자 장도 찍음)
동북 로후공업기지에 위치한 흑룡강성은 디지털경제를 전 성 발전을 이끄는 "1호 프로젝트"로 삼고 있다. 농업령역에서뿐만아니라 흑룡강성은 디지털기술을 더욱 광범위한 범위 내의 실물경제와 깊이 융합시켜 산업 전환과 고도화를 실현하는데 동력을 부여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은 새로운 산업과 새로운 업종을 형성시켰다. 두신우(杜新宇) 흑룡강성 공업정보화청 부청장은 "향후 흑룡강성은 시장주체의 유치와 육성, 디지털 산업사슬의 연장과 확대, 디지털기술의 혁신과 성과전환의 추진 등 분야를 중심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1년 5월 11일, 흑룡강성 한 기술자가 무인 이앙기 작업 경로를 설치하고 있다.(신화사 기자 장도 찍음)
현재까지 흑룡강성은 모든 행정촌에 4G 네트워크 100% 보급을 실현하고 전 성 13개시(지구), 127개 현(구), 1481개 향(진)에 5G네트워크를 보급했다. 전 성 제조업의 핵심업무부분, 핵심공법, 생산설비의 디지털화 실현률이 각각 25.4%, 37.7%, 39.3%에 달했다. 할빈공업대학 등 78개 대학교와 226개 과학연구원(연구소)가 디지털경제 분야의 혁신능력과 연구개발능력이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2025년까지 흑룡강성은 디지털경제 핵심산업의 부가가치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0%에 이르러 디지털경제의 도약식 발전을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출처: 동북망
편역: 전영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