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에 깼을 때 TV가 켜져 있는 경우가 많은 사람이라면 뱃살을 조심하자. 침실에서 TV를 켜놓고 잠들면 TV의 불빛이 대사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걸 보여주는 연구가 여럿 나와 있다.
런던 암 연구센터에 따르면 밝은 곳에서 자는 사람일수록 체질량지수(BMI)와 허리 및 엉덩이둘레 수치가 높았다. 조명뿐 아니라 TV를 비롯한 각종 전자기기에 의한 빛도 류사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당뇨병의 발병 위험도 커진다. 불을 켜놓은 상태로 자는 사람은 불을 모두 끄고 자는 사람에 비해 멜라토닌 수치가 50% 이상 떨어지는데 멜라토닌은 혈압 및 체온을 낮추는 데도 관여한다. 미국수면의학회의 연구결과, 수면 중 희미한 빛에만 로출돼도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면서 2형 당뇨병 발병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국립환경보건과학연구소에서도 비슷한 연구결과를 내놓은 적이 있다. 연구팀은 건강한 35~74세 녀성 4만4000여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해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시작 시, 참여자 중 과체중은 있었지만 비만한 사람은 없었다. 수면 주기를 방해하는 교대 근무를 하거나 임신한 경우도 없었다. 약 6년간의 추적 관찰 결과, 잘 때 TV나 조명을 켜고 잔 녀성은 5년 동안 체중이 5kg 이상 증가할 확률이 17%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 요인은 모두 고려된 결과였다. 또 불빛이 없는 어두운 환경에서 잠을 잔 녀성보다 과체중이 될 가능성은 22%, 비만이 될 위험은 33% 더 컸다. 이 같은 결과는 인공조명이 호르몬 변화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잘 때 TV를 켜두는 사람들은 "TV를 보다가 자연스레 잠드는 게 습관이 됐다"고 말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좋지 않은 수면 습관이다. 잠자리에 누워도 잠이 오지 않을 땐 거실 등으로 나와 독서나 조용한 음악 감상 등 정적인 활동을 하는 게 도움이 된다. 그 후 잠이 오기 시작하면 다시 잠자리로 돌아가 눕는 습관을 들이는 게 좋다. 밤 늦게까지 TV를 비롯한 영상기기를 시청하면 숙면에 방해가 된다.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