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령활(嫁令阔)'은 허저족 민요중의 하나로서 단조, 노래가락을 뜻하며 흑룡강성 쌍압산시와 가목사시 허저족 지역에서 류행하고 있다.
가령활 곡조는 류창하고 아름다우며 선률이 자연스럽고 서정적이며 대부분 즉흥적으로 가사를 붙여 부른다. 곡조의 격식 구조가 간단하고 1~2개 악절로 되여 있으며 형상이 뚜렷하고 인물이 생생하며 언어가 명쾌한 등 소수민족 민요의 기본 특징을 나타내는데 허저족이 대자연과 고향을 찬미하고 젊은 남녀간의 사랑을 표현한 노래이다.
가사내용과 곡조의 변화로부터 볼 때 허저족의 가령활은 5가지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력사적인 고대 가요로서 신화, 종족 기원 등의 성격을 띠며 전해내려온 것이 극히 적고 매우 진귀하다. 둘째, 제사의식중의 신가로서 주로 허저족 샤먼(萨满, 주술사)이 제사의식에서 부르는데 '청신가', '송신가' 등이 있으며 곡조가 상대적으로 고정되여있다. 셋째, 생활속의 풍속노래로서 어업, 사냥생산, 남녀의 사랑, 민속풍정 등을 반영하는데 이 부류의 노래가 큰 비중을 차지하며 가사는 임의성이 매우 크다. 넷째는 회고성을 띤 노래로서 허저족의 고단하였던 삶의 경력, 또는 고통스러웠던 력사와 관련되거나 또는 일본침략자의 피비린 죄행을 규탄하는데 곡조가 느리며 슬프고 처량하다. 다섯째, 새 삶을 찬미한 노래로서 그 수량이 많으며 오늘날의 새 민요로 되였다.
가령활은 주로 구두로 전해지는데 소재는 대부분 어업 기원(祈渔), 그물 짜기, 어로, 생선 먹기 등 생활에서 기원했다. 리듬이 간결하고 명쾌하며 '배머리에서 노래하고 파도속에서 노래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고 곡조와 리듬은 대부분 노를 젓는 동작에서 나온 것으로 어부의 노래 특성을 띠고 있어 듣기도 좋고 입에 올리기 쉬우며 기억하기 쉬워 부르기도 쉽다.
/흑룡강라디오텔레비전방송국 국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