섞어띄움비료의 배합방법 |
|
|
|
|
|
|
|
흑룡강신문=하얼빈 2008.12.4
섞어띄움비료를 만들 때 몇가지 종류를 섞어서 사용한다. 쌀겨만으로 만든 섞어띄움비료에 콩찌꺼기를 약간 넣고 발효시키면 콩찌꺼기 섞어띄움비료, 쌀겨에 생선찌꺼기를 첨가하면 생선찌꺼기 섞어띄움비료와 비슷한 상태로 된다. 발효시간이 4~5일간일 때 이런 현상을 볼수 없지만 1개월이나 2개월로 숙성시간이 긴 경우에는 효과가 더 뚜렷하다.
화학비료를 발효시켜 사용하면 좋은 결과가 나타나는것도 비료에 포함된 염류에는 해로운 작용도 있지만 다양한 염류가 더해짐으로 해서 해가 미치고있던 물질의 독성이 빠지고 또 발효과정에서 생겨나는 여러가지 비타민이나 미네랄(矿物质), 아미노산(氨基酸) 등이 더해짐으로써 상승효과가 나타나 더 강한 효과를 발휘한다.
배합원칙: 산, 논, 밭, 바다에서 나는 자재를 첨가한다.
(1) 발효의 원재료를 선택할 경우에는 산(락엽과 나무열매 등), 논과 밭(쌀겨와 왕겨 등의 논의것과 기름찌꺼기나 콩찌꺼기,싸리꽃 등 밭의것), 바다(생선찌꺼기나 해조 등)의것들을 하나씩 넣도록 한다.
(2) 재료는 가장 좋은 동물을 원료(골분 등)로 한것과 식물을 원료로 한것으로 될수록 여러가지를 혼합한다. (3) 농축산물의 부산물은 원칙상 본래있던 곳으로 돌려보낸다. (4) 미생물의 먹이는 사람과 동물의 먹이임과 동시에 식물의 먹이가 된다.
이 네가지 원칙을 정하고 나름대로 재료를 선택하면 된다. 례를 들면 논에 쌀겨뿐만아니라 벼짚과 왕겨도 발효시켜 사용하면 좋은 효과를 볼수 있다.
유기질재료의 각 특성은 날것을 그대로 사용했을 때와 비교하면 비료의 효력면에서 큰 차이가 난다. 숙성시키지 않고 바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무기화비률이 50%에 이르기까지 30∼60일이나 걸렸던 쌀겨도 일단 발효시키면 속효성으로 변한다.
작물은 유기아미노산형태로 비료를 흡수한다. 섞어띄움비료를 만들 때 주변에서 자라는 천연재료를 많이 리용한다. (다음기 계속)/자농
|
|
|
|
Can not find mark:chnavor_blog
|
|
|
Can not find mark:chnavor_layer_qrsc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