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용띠 해인 춘절(春節· 음력설)이 다가오면서 세계의 '새해 맛'도 짙어지고 있다. 오늘날 전 세계 거의 20개국에서 음력설을 법정 공휴일로 사용하고 있으며 세계 인구의 약 5분의 1이 다양한 형태로 음력설을 기념하고 있다. 최근 외국인들이 설맞이 용품을 구매하는 동영상이 인기를 끌었는데, 한 영국 여성이 중국 브랜드의 전기차를 설맞이 용품으로 적극 추천하면서 자신의 오빠에게 한 대를 주겠다고 했다. 중국 알리바바 그룹 산하의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플랫폼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 용" 요소의 홍바오, 창화, 중국 결, 춘련 등의 제품과 중국 붐 브랜드의 "신춘 블라인드 박스"가 해외 100여 개 국에 불티나게 팔렸다.
국산품이 돛을 올려 해외에 진출한 것은 오늘뿐만이 아니다. 지난해 중국산 제품이 한국의 블랙 프라이데이를 휩쓸었다. 최근 몇 년간 유럽인들은 중국산 전기장판 등 '난방 기기'를 사재기하고 있다.
소비자들에게는 품 '좋은 물품'이 첫 번째 수요이다. 국산 전기차의 경우 올해 원단 이후 미국 소비자들이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중국산 전기삼륜차를 주문하는 건수가 급증했다. 볼품없어 보이는 이런 단거리 도구는 유럽과 미국의 대농장, 유럽 도시의 좁은 길거리와 접점을 찾아 현지 사용자들로 하여금 '참 좋다'고 느끼게 했다.
이러한 장점은 또한 매우 높은 가성비를 가져왔다. 최근 한국 언론 보도에 따르면 한국의 우유 가격이 오르면서 많은 한국인들이 두유를 마시고 있다고 한다. 한국 브랜드 두유 제조기가 중국 브랜드보다 2~3배 비싼 상황에서 중국 두유 제조기가 현지에서 판매 기적을 일으키고 있다.
이밖에 좋은 쇼핑 경험은 해외 소비자들에게도 인정받고 있다.
끊임없는 혁신적인 연구개발 능력, 현지 수요에 적응하는 유연성 덕분에 '차이나 메이드'는 전 세계 소비자들에게 신기한 경험을 선사하고 있다.
전 세계 소비자들이 "중국산"을 사는 것은 고품질 제품뿐만 아니라 독특한 문화적 가치를 고려하였기 때문이다.
무형 문화재의 수공예품, 치파오, 차 음료가 외국 거리에 등장한 것부터 중국의 유서 깊은 주류업계 대표들이 G20 정상회의, 다보스포럼과 같은 국제 고급 플랫폼에 자주 등장하기까지 5000년 이상의 중국 문명이 전승되어 국산품의 해외 진출에 문화적 저력을 부여했으며 '화이부동미공(和異不同美共)'의 이념과 기개를 전달했다. 이 때문에 더 많은 외국인이 '중국산'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오늘날 해외 소비자들에게 사랑받는 많은 중국 제품에서 중국 전통 문화 요소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국의 어느 한 뷰티 브랜드는 립스틱 바디에 오리엔탈 마이크로 엠보싱 기술을 적용하고 제품 포장에 천년의 백자 기술을 적용했다. 그리고 묘족의 은 장식 예술을 색조 화장품 상자에 적용했다.
민족적인 것은 바로 세계적인 것이다. 중국의 우수한 전통 문화는 "중국산"의 가장 깊은 유전자이다. "중국 상품"은 해외에서 누차 중심 위치에 올라서 세계 무역 번영과 경제 발전을 촉진했을 뿐만 아니라 문명 교류와 벤치마킹을 촉진하여 세계에 상향식 중국의 힘을 가져왔다.
출처: 중국국제방송
편집: 정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