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년여간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류행과 우크라이나사태, 에너지가격 폭등에 전세계가 물가 급등과 경기 부진을 겪고 있다.
최근 영국 일간지 가디언에 따르면 이 같은 삼중 타격 속에 각국 정부는 국민의 고통을 덜기 위해 각종 조치를 취하고 있다.
미국은 12만 5000달러 미만 소득자를 대상으로 인당 1만달러의 학자금 대출을 탕감해주기로 했다.
중남미 국가중 브라질 정부는 유류세를 인하했다.
브라질 최대 석유회사인 국영 페트로브라스는 지난 2일부터 휘발유 가격을 7% 인하했다. 7월 중순 이후 4번째 련속으로 낮춘 것이다.
칠레는 로동자에게 보조금을 지급한다.
칠레 정부는 7월 로동 보조금으로 12억달러를 지원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대부분의 밀 공급을 수입에 의존하는 일본은 소매업체에 판매되는 수입산 밀 가격 인상을 제한한다. 이는 4월 통과된 약 14조 5360억엔 규모의 경제 대책 법안의 일환이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연료 보조금으로 책정한 예산의 약 5%인 24조 1,700억 루피아를 2060만 가구에 현금으로 지급하는 등 복지 예산으로 돌려쓸 계획이다.
세계 2위 밀 생산국인 인도는 지난 5월 '식량안보'를 위해 밀, 설탕 등 식료품을 중앙 정부의 허가 물량만 수출하도록 했다.
이에 국제시장 가격을 교란한다는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
세계적인 물가 급등 상황 속에 걸프 산유국들도 지원 예산을 대폭 늘였다.
7월 아랍추장국련방(UAE)은 저소득층 지원 예산을 두배로 늘이기로 했다. 늘어난 예산 규모는 280억디르함에 이른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해 200억리얄 재정을 투입한다.
살만 빈 알둘아지즈 알사우드 사우디 국왕은 지난 7월 각 부처 장관에게 물가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 가구를 돕기 위한 예산으로 200억 리얄을 배정하라고 지시했다.
지난 5월 물가상승률이 1988년 이후 최고치인 작년 동월 대비 73.5% 상승한 튀르키예(토이기)는 최저 임금을 대폭 올리기로 했다.
튀르키예 정부는 1월 최저임금을 50% 인상한 데 이어 7월부터 약 30%를 추가로 인상했다. 월 최저임금은 5500 리라이다.
유럽 각국 정부는 에너지 가격 부담을 덜기 위한 대책을 내놓고 있다.
프랑스 정부는 올해초 도입한 ‘전기 료금 인상률 4% 제한’ 방안을 년말까지 유지하기로 했다. 저소득, 중간소득 가구에 100유로를 지급한다.
독일은 물가 급등으로 인한 서민들의 부담을 낮추기 위해 650억유로 규모의 지원패키지를 추진한다.
새 지원패키지에 따라 년금수령자들은 12월 1일부터 300유로를 일괄 지급받는다. 학생들과 직업훈련생도 일회에 한해 200유로를 받는다.
스페인은 에너지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 천연가스에 부과하는 부가가치세를 21%에서 5%로 인하하기로 했다. 올해 10~12월 이 같은 조치를 시행한다.
석탄으로 난방을 하는 가구가 많은 폴란드에서는 정부가 석탄을 사용하는 가구에 3000즐로티를 일회 지급하기로 했다.
노르웨이는 전기료금 상한선을 킬로와트시당 7 노르웨이크로네로 제한하고 정부가 나머지 비용의 80%를 보전하기로 했다.
영국은 10월 가게 에너지 료금 80% 인상을 취소하고 동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영국 리즈 트러스 총리는 오는 7일 발표할 가계 에너지 위기 대책으로 료금 동결을 검토중이다.
출처: 연변일보
편집: 정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