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경시 유중구 남기문 가도를 걷다 보면 우아한 중경의 구시가지가 눈앞에 펼쳐진다.
한때 중경에서 가장 번화한 거리였으나 이제는 쇠퇴한 곳이 됐다.
남기문가도에 사는 윤장화 씨는 몇 년 전 남기문가도 하면 ▷지저분 ▷란잡함 ▷판자촌 ▷교통체증 등 이미지를 떠올린다고 설명했다.
남기문가도는 유중구에서 가장 작은 가도이며 면적은 0.65㎢에 불과하지만 19개의 문화재와 박물관이 위치해 있다.
유중구를 재개발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문화재를 보호할지가 관건이다.
재개발을 끝마친 십팔제(十八梯) 관광 지역. (사진/신화통신)
백상거리 전통 관광지역에 위치한 중경약재협회 건물 옛터에는 중국과 서양의 특징이 결합된 건물들을 볼 수 있다. 명말청초에 약재협회 건물이 위치한 축기문 구역은 약재 집산지로 호북성, 호남성, 강서성, 광동성과 서남지역 각 성(省)을 련결하는 중심지였다. 중경시의 문화재로서 약재협회건물은 지난 100년의 약재시장 변화를 목격했다.
한 관계자는 전통 건물을 철거할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오히려 이를 보호해 문화 관광이 주민의 생활과 융합되도록 촉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약재협회 건물 옛터를 중심으로 의약문화산업시범단지 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한 중의약 박물관, 중의약 현장체험관 등을 설치하고 있다. 중의약 산업과 전통 관광 지역의 융합발전을 추진해 중의약 산업을 관광,쇼핑,음식, 체험 등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복합형 산업으로 발전시키도록 노력할 예정이다.
보수된 약재협회 건물 옛터. (취재원 제공)
진적병 유중구 력사문화거리 건설관리위원회 부주임은 "최근 몇 년 동안 산성골목, 십팔제, 백상거리 등 3대 전통 관광지역을 업그레이드했다"며 "중경의 특징을 바탕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도입해 해당 지역의 인기를 높였다"고 전했다.
판자촌으로 유명했던 산성골목은 지난해 전면 재개발된 뒤 명소가 됐다. 십팔제, 백상거리 역시 활력을 되찾았다.
또한 남기문가도에는 2억1천만 원이 투자돼 93만m² 크기의 16개 로후 단지가 재개발됐다. 가도에 좋지 않은 이미지를 심어주는 인력 시장, 낡은 가구 시장 등은 점차 폐쇄하고 중점 지역 환경의 고도화 및 비즈니스 모델 업그레이드를 추진하고 있다.
가도가 아름다워지고 문화재가 생생하게 살아 숨쉬며 산업이 발전하면 우리가 기억하는 화려한 충칭이 부활할 것으로 예상된다.
출처: 신화넷
편집: 장성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