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룡강성 향촌문명건설이 깊이있게 추진됨에 따라 아름다운 풍경과 아름다운 품성이 서로 어우러져 좋은 사람과 좋은 일이 갈수록 많이 나타나고 있다. 농민의 새로운 모습과 농촌의 새로운 기상이 우리 성 향촌진흥과 빈곤탈출결승전에 막강한 힘을 불어넣고 있다.
낡은 풍속과 습관을 바꿔 향촌진흥의 아름다운 그림 그린다
"라디오 텔레비전방송, 광대역 네트워크, 포장도로가 들어오고 화장실, 마을의사, 문화활동장소가 마련되였으며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있고 편안한 집에서 살 수 있게 되였다." 부유현(富裕县) 마을들을 방문하면서 기자는 "아름다운 향촌건설이 한창인 향촌문명의 내음이 물씬 풍기는" 기꺼운 변화를 이르는 곳마다에서 느낄 수 있었다.
문명시범촌 건설은 농촌정신문명건설활동의 중요한 부분이다. 이를 위해 우리 성은 "업그레이드판" 문명촌 건설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24개 향촌문명시범향진과 48개 시범촌 건설에 박차를 가하해 향촌문명건설을 지속적으로 깊이있게 전개하여 짙은 향촌진흥 분위기를 살려 모든 마을과 모든 마을주민이 빈곤에서 벗어나 치부의 길에 들어설 수 있도록 이끌고 있다.
초요사회 전면 건설 목표를 향해 나가는 길에서 우리 성 여러 향촌에서는 대중들이 "좋은 집에서 살고 잘 살 수 있도록" 해야 할 뿐 아니라 "개개인이 량호한 습관을 길러 량호한 향촌 기풍을 형성"해야 한다. 따라서 시골의 낡은 풍속과 습관을 바꿔 신형의 농민을 양성하고 훌륭한 가풍을 형성하고 새로운 농촌문화를 건설하여야 한다.
옛날 일부 농촌지역에서 혼례와 장례 등 경조사를 대대적으로 치르며 겉치레하고 거액의 혼수를 요구하며 부모 생전에는 잘 봉양하지 않다가 사후 장례를 엄청나게 치르는 등 불량한 기풍이 계속 이어져내려오면서 문명건설에 불협화음을 조성하였다. 이춘시 가음현 홍광향 료원촌은 온 마을에서 이런 나쁜 풍속과 습관을 타파하는 '공격전'을 벌여 마을 주민들의 '인정소비' 부담을 줄였으며 기풍을 새롭게 바로잡았다.
향촌 문명 기풍을 살리려면 향촌 규정제도를 실제로 수립하고 보완해야 한다. 우리 성 여러 지역에서는 촌민의사회, 도덕평의회, 경조사이사회, 마약금지도박금지회 등 대중 자치단체의 역할을 살려 경조사를 간소하고도 의미있게 치를 것을 제창하였으며 규모와 기준을 약정하여 마을주민들 자체 "규정"과 "규칙"이 생겨났다.
문명실천센터, 향촌문명의 조력자로
중앙에서 새시대 문명실천센터 건설을 제기한 후 우리 성은 전 성은 큰 중시를 돌리고 면밀하게 계획하여 적극 실천하고 있다. 전 성 32개 새 시대 문명실천센터, 283개 새 시대 문명실천소, 1833개 새 시대 문명실천사무실이 향촌문명건설을 떠미는 "촉매제"요, 시대의 새로운 목소리를 전하는 "확성기"요, 대중을 관심하고 대중을 위해 봉사하는 "대중편의가교"역할을 톡톡히 해오고 있다.
명수현은 새 시대 문명실천센터 건설 과정에서 사상교육, 당의 정책 선전, 핵심가치관 설명, 사회 긍정적 에너지 알리기, 문명예의규범 보급하기 등 조치를 대 명수현 특색의 문명실천센터를 건설하였다. 한편 아름다운 삶에 대한 대중의 수요와 결부시켜 새 시대 문명실천사무실을 대중의 집 앞에 설치하여 "실천사무실을 광주리로 삼아 어려운 일이 있으면 그 안에 넣을 것, 실천사무실을 이용하면 바로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명수에서 칭찬이 자자하다.
방정현에서는 주민편의 서비스홀, 문화오락활동홀, 돌보미센터, 사법설명, 지원봉사 등 기능을 구전히 갖춘 새 시대 문명실천센터를 건설하여 주민들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고 더 따스한 관심을 돌리고 있다.
우리 성 여러 지역 새 시대 문명실천센터는 실제와 현지 주민의 수요에 맞춰 각자 특색이 있는 문명실천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대경시 대동구에서는 새 시대 문명실천센터 "클라우드 플랫폼(云平台)"을 마련해 대중들이 "듣고 싶어하는 내용, 좋아하는 활동, 배우고 싶어하는 지식, 필요한 서비스, 어려운 문제" 등 수요를 둘러싸고 맞춤형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안달시에서는 "법윤만가향촌행(法润万家乡村行, 법률상식을 만 가구에 전파하기)"지원봉사팀을 구성하여 노래와 춤, 소품, 설창, 연극 등 형식으로 농민들에게 법률지식을 보급하였으며 참가한 대중이 만 명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흙냄새"가 물씬 풍기는 이론선전을 통해 따스한 지원서비스를 전하고 대채로운 문화활동을 즐기는 사이에 새 시대 문명 실천의 "씨앗"이 어느새 흑룡강 대지에 뿌리 내리고 싹 트고 꽃이 피고 열매를 맺기 시작하였다.
풍부하고 다채로운 문화생활은 농민대중의 간절한 바람
우리 성에서는 "농민의 문화생활을 풍부히 하고 향촌문화를 번영 발전시키자"는 주제로 일련의 문화활동을 폭넓게 전개하여 농촌 대중의 문화수요를 꾸준히 만족시키고 있다. 코로나19의 영향을 받고 있는 기간에도 문화예술종사자들을 조직하여 코로나 방역을 내용으로 하는 문예작품 2만 여 건을 창작하였으며 온라인전시 300여회, 온라인공연 700여차를 조직하였다. 이 기간 문화활동의 혜택을 본 향촌 대중이 연인수로 백만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밖에도 "대중 속으로"온라인문예활동을 전개하고 공익수업생방송, 온라인문예생방송 등 활동을 통해 농민대중의 생활을 풍부하게 하였다.
우리 성에서는 "흑룡강 농촌 책방 디지털 열람 플랫폼"을 설치해 농촌 책방에 활기를 불어넣었으며 농민대중들에게 디지털도서, 음성도서,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농민들의 독서열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새시대 향촌 독서계절", "농민이 즐겨읽는 도서 100종", "독서가 좋아 100일" 등 다양한 독서활동을 조직해 독자들의 흥미를 불러일으켰다.
일부 지역에서는 특색적인 향토문화를 널리 알려 문화를 통해 농민대중을 교육하고 즐거움과 혜택을 주며 농경문명을 전승 발전시키고 있다.
녕안시 녕고탑문화축제는 40여만명이 참가하여 행사기간이 길고 영향범위가 넓기로 유명하다. 할빈시 통하현 통하진 화수촌은 매년 9월 12일을 화수촌 인효제(仁孝节)로 정하고 백가연활동을 전개하여 한 테이블에 노이 10명씩 모셔 그 자녀들이 효성을 담아 음식을 마련해 대접하도록 하고 있다. 자녀들은 어르신들을 가마에 태워주고 어르신들을 위해 문예공연도 펼친다. 이런 행사는 모두 전통문화와 향토문화에 "시대적 의미"와 "대중적 맛"을 담아 진정으로 농촌에 향토의 멋과 향수를 간직하도록 한다.
오늘날 흑룡강 드넓은 농촌을 둘러보면 민풍이 순박하고 향촌이 발전하였으며 향촌문명에서 "향토의 맛"이 풍긴다.
"오로지 문명이 향토에 스며들고 문화가 농촌의 인정을 촉촉히 적셔주어야만 향촌진흥이 날개를 펼 수 있으며 매 사람의 마음속에 아름다운 향수를 남길 수 있다"라고 한 농촌 기층 간부가 감탄하였다.
/흑룡강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