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룡강신문=하얼빈 2008.12.9
함박눈이 내리는 겨울밤에는 고요한 감이 난다. 이것은 왜 그럴가?
눈의 크기는 보통 2밀리미터정도로 땅에 내릴 때는 이 결정들이 서로 엉켜붙어 눈송이를 이루게 된다. 그런데 이 눈송이의 크기는 대기중의 수증기의 량과 기운에 관련되어 있다.
보통 기온이 령하 섭씨 5도이상인 날씨에는 눈의 결정이 커지기 쉬워 함박눈이 내리게 된다. 반대로 추은 날씨에는 눈이 성장하지 못하고 내리게 되므로 싸락눈이 오게 된다.
함박눈의 결정은 바늘 모양(침상), 기둥 모양(각주상), 편평한 모양(판상) 등 여러형태를 띠는데 기본적으로 6 각형의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6각형 결정구조를 가진 눈에는 많은 틈이 있는데 눈의 약 10%만이 눈의 결정이고 나머지 90%는 공기의 틈으로 이루어져있다. 바로 이 틈이 소리를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눈이 내리면 소리가 진행하다가 눈의 틈새에 부딪히게 되고 그 틈새에서 이리저리 반사되다가 결국 소리에너지를 잃고 흡수되는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