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최고 학술지인 《자연-세포생물학》에 발표된 한차례 연구에서는 한가지 새로운 관점을 제출했다.
머리카락이 하얗게 변하는 것과 치명적인 피부암 ‘흑색종’ 사이에는 하나가 하락하면 하나가 상승하는 관계를 가지고 있다. 흑색소줄기세포(McSCs)는 로화나 유전자변이를 유도하는 스트레스에 직면했을 때 ‘자기희생’의 길을 택해 점점 소모되여 머리카락이 하얗게 변하고 동시에 흑색종 형성을 막아준다.
흰머리 나면 암 발병위험 낮아질가?
절강성인민병원 피부과 부주임의사 륙위는 멜라닌줄기세포가 모낭과 피부표피의 기저층에 존재하는데 이는 모든 성숙한 멜라닌세포의 근원이라고 소개했다. 이 줄기세포는 두가지 핵심기능을 가지고 있다.
자가갱신으로 자가줄기세포풀의 안정을 도모한다.
분화는 모발이 자라는 동안 활성화되여 모발에 착색되는 ‘성숙한 멜라닌세포’로 분화되거나 자외선 자극후 피부를 검게 만들어 피부장벽을 보호한다.
이번 연구에서 연구팀은 멜라닌줄기세포가 그것이 처한 미세환경과 상호 작용하며 특정 스트레스반응경로를 통해 줄기세포개체의 운명을 조절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례하면 이 과정이 세포를 로화시킬지 아니면 암을 유발할지 결정한다는 것이다.
연구팀이 쥐 멜라닌줄기세포를 추적한 결과 유전자손상이 발생했을 때 줄기세포는 상술한 보호성 프로그람을 가동했다. 즉 무한증식하여 암이 되는 길 대신 스스로 고갈되여 머리카락을 하얗게 만드는 길을 선택함으로써 흑색종의 발생을 원천 차단했다.고갈되고 머리가 하얗게 변하지만 동시에 흑색종 형성을 효과적으로 예방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반대로 발암물질은 특정 특수신호경로를 활성화하여 멜라닌줄기세포의 보호프로그람을 억제한다. 이 경우 자가재생기제가 통제를 잃어 흑색종 형성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출처: 인민넷-조문판
편집: 김철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