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보증금’ 등은 사기임을 당부
대학교 학생 모집과 합격 시즌은 사기군들이 기회를 노려 범죄를 저지르는 다발기이다. 교육부는 정규적인 학생 모집과 합격은 어떠한 부가비용도 산생하지 않는다고 당부했다. 무릇 대학교 학생모집판공실 사업일군이라는 신분으로 ‘입학자격 심사’, ‘보증금’, ‘학비 선납’ 등 명의로 계좌이체를 요구하는 것은 모두 사기이다.
최근 일부 수험생과 학부모들은 대학교로부터 학교에 다니고 싶은지 등을 문의하는 전화를 받는 경우가 있는데 진위 여부를 판별하기 어렵다고 반영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수험생의 등록률을 높이고 학교의 학생모집계획부분을 랑비하지 않기 위해 일부 대학교, 특히 민영대학교는 모집단계에 전화를 통해 수험생과 련락하여 합격 관련 사안에 대해 소통을 하면서 수험생이 이 학교에 취학할 지 여부를 문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일부 불법분자들은 학생모집기간 전화련락 등 방식으로 사기를 실시한다고 특별히 귀띔했다. 수험생이 만약 돈언급, 허풍, 링크클릭 등 상황에 직면할 경우 반드시 경각심을 늦추지 말아야 한다. “돈을 쓰면 지원서를 고칠 수 있다”, “돈을 쓰면 추가합격자격을 얻을 수 있다”, “돈을 쓰면 입학이 보장된다”고 주장하는 것은 모두 사기이다.
또 어떤 사기군들은 대학교 학생모집판공실 일군을 사칭하여 ‘합격정보 확인’, ‘학비 선납’, ‘조학금 수령’ 등 명의로 수험생 혹은 학부모에게 지정된 위챗친구를 추가하거나 첨부된 ‘공식링크’를 클릭하도록 요구한다. 이러한 위챗은 종종 사기군의 개인계정이며 링크는 피싱사이트로 은행카드 번호, 비밀번호, 인증코드 등 정보를 훔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교육부는 만약 받은 전화가 의심스럽다면 먼저 전화를 끊고 대학교의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학교 학생모집판공실 공식전화에 전화를 걸어 확인할 수 있다고 당부했다.
교육부는 이미 여름방학 대학교 학생자금지원전화를 개통하여 가정경제가 어려운 대학교 신입생을 위해 자금지원정책 자문과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 학생은 각종 사기를 경계하고 불법 ‘교정대출’을 경계하며 낯설고 의심스러운 문자메시지, 전화, 위챗친구 등에 대해 답장하지 말고 수신하지 않으며 무시하고 계좌이체를 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출처: 인민넷 조문판
편집: 전영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