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이 점점 깊어가면서 주말을 리용해 등산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특히 온 산을 붉게 물들일 단풍이 림박하면서 산과 들로 나들이를 떠날 계획을 잡는 사람들도 많아졌다.
등산은 허리근육을 강화하고, 요통을 예방하며, 척추 뼈를 바르게 고정시켜 만성 척추신경질환 치료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근지구력 향상과 체지방 감소에도 효과적인데다 정신적 만족감을 얻을 수 있어 우울증 예방과 스트레스 해소에 좋다.
그러나 등산을 무리하게 할 경우 무릎과 척추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또 각종 질환과 골절 위험도 뒤따른다. 특히 40~50세 이상의 균형 감각이 좋지 않은 중년 녀성이나 체지방 비율이 너무 낮은 마른 여성의 경우에는 등산을 삼가야 한다.
등산은 오르막길보다는 내리막길에 더욱 신경써야 한다. 내리막길에서는 본인 체중의 약 3∼5배의 무게가 앞쪽으로 쏠려 근육, 관절, 허리 등 각 부위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평지에서보다 약 절반 정도의 속도로 천천히 걷는 것이 좋다. 또 내려오는 길에는 보폭을 크게 하거나 뛰어내려오게 되면 넘어지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등산할 때 배낭의 무게는 자신 몸무게의 10%를 넘지 않도록 선택하고 등산 중에는 늘 허리를 펴서 허리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해야 한다. 등산화는 너무 죄거나 너무 큰 것은 피해야 하고, 지팡이는 오르막길과 내리막길에서 체중을 분산시켜 허리나 관절에 부담을 줄여주기 때문에 등산 전용 지팡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하산 시 무릎에 가해지는 부담은 평지의 3배가 넘는다. 아무래도 긴장된 자세에서 무릎을 더 많이 구부리게 되기 때문이다. 이에 내리막길에서는 뒤쪽 다리의 무릎을 평상시보다 더 깊숙이 구부려 앞쪽 다리의 부담을 줄여주는 것이 요령이다. 또한 허리를 똑바로 세우는 자세만으로도 무릎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또한 등산화 끈을 단단히 묶되 특히 발목 부분을 잘 고정시켜야 한다. 발목 부분이 느슨해질 경우 발목이 잘 지지되지 못해 발목이 삐는 등의 부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신발 바닥에 충격을 흡수하는 깔창을 깔아 발바닥 피로를 줄여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출처: 료녕신문
편집: 장성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