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드러운 소매선과 예리한 깃섶의 선, 직선과 곡선이 조화를 이루는 한복은 세계적으로 호평받고 있는 아름다운 옷이다. 움직이기 불편해서, 관리하기 힘들어서 한복 입기를 꺼리는 이도 많지만, 명절에는 역시 녀성스럽고 화사한 분위기를 내주는 한복을 입는 것이 제격이다.
더 고와진 한복
상의는 밝게, 하의는 어둡게 입는 것이 가장 고전적인 방법. 올해 설 한복은 짙은 쪽빛, 먹자주색, 가지색 등 차분한 색이 눈에 띈다. 수박색이나 대추빛이 감도는 빨강색 등 천연염색인 듯한 자연스러운 색상이 대세. 단아한 멋이 느껴지는 색상으로 세련미를 갖춘 한복이 인기를 얻고 있다.
쪽빛 치마에는 옥색, 미색, 다홍 저고리를, 먹자주색 치마에는 분홍, 노란색, 회색 저고리가 어울린다. 새색시의 다홍치마에는 연두색 저고리가, 부인의 가지색 치마에는 연보라색이나 노랑색 저고리가 어울린다. 체형이 작고 말랐다면 채도가 높고 밝은 색을, 뚱뚱한 체형이라면 채도가 낮고 짙은 색을 고르는 것이 좋다.
치마 끝이나 두루마기 등에 자수를 넣은 디자인은 더욱 화려한 느낌을 준다. 깃 부위나 소매선에 직조가 다른 원단을 대어 포인트를 준 디자인은 깔끔하면서 고급스러워 보인다. 겨울이므로 소재는 모본단, 양단, 공단 등 부드럽고 고급스러운 비단이 인기가 높다.
더 예쁘게 입자
한복을 입을 때는 속옷에 신경써야 더욱 맵시가 난다. 속바지와 속치마를 갖추고 치마를 입는다. 브래지어는 하지 않는 것이 보통. 요즘에는 속치마의 가슴부분이 넓게 덧대어 있어 따로 가슴을 싸매지 않아도 된다. 치마를 동여매는 말기의 앞은 내리고 뒤는 올려야 붕 떠보이지 않는다.
한복을 더욱 빛내주는 액세서리는 바로 노리개. 치마의 컬러에 맞추어 분홍치마에는 분홍색을, 담녹색의 치마에는 겨자색이나 다홍빛의 노리개를 해주면 예쁘다. 짝수가 아닌 홀수로 하는 것이 예법이므로 얇은 노리개는 3개 한 세트를 모두 하도록 한다. 주얼리의 경우 목걸이는 하지 않는 대신 귀에 붙는 디자인의 귀고리를 선택하자. 지나치게 화려하고 큰 귀고리는 잘 어울리지 않는다.
외출할 때는 코트보다는 두루마기를 입는 것이 정석. 털목도리를 해도 되지만 화려한 색상은 피하자. 여성의 경우 방한용으로 아얌이나 조바위를 쓰면 훨씬 정갈해 보인다. 누빔처리된 두루마기나 저고리에 덧입는 털배자, 토시 등은 더욱 따뜻한 느낌을 살려준다.
관리는 이렇게
눈으로 봐서 더러움이 많이 타지 않았고 몇 번 더 입어야 한다면 간단히 때를 빼는 것이 좋다. 더러운 부분의 옷감 밑에 깨끗한 수건을 깔고 거즈에 미지근한 물을 적셔 탁탁 치면 된다. 아랫자락이 끌려 때가 탄 치마 역시 같은 방법으로 더러움을 없앤다. 음식물 얼룩은 벤졸로 가볍게 문질러 지운다.
다 입고 난 후 명주는 드라이클리닝을, 합성섬유는 손빨래를 한다. 손빨래를 할 경우 세탁기를 사용하면 옷감의 올이 튀거나 모양이 손상되기 쉬우므로 살살 비벼서 빨아야 한다.
보관할 때는 널찍한 상자에 넣어 둔다. 치마는 눌리지 않도록 잘 개어 넣고 그 위에 저고리를 접어 넣는다. 금·은박 등이 장식된 부위에는 부드러운 한지를 사이에 끼워넣어 상하지 않도록 한다.
출처: 종합
편집: 왕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