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에는 살이 꽉 찬 제철 수게를 먹어야 한다. 꽃게에는 눈 건강에 특효라는 타우린(牛黄酸)이 풍부해 40대 이후에 찾아오는 로안 극복에 효과적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꽃게와 대게 100g 각각의 타우린은 약 711mg, 약 298mg로 꽃게가 대게보다 2.3배 많은 타우린이 함유되여 있다.
타우린은 망막세포를 구성하고 있는 필수 구성요소서 망막의 세포막인 다가불포화지방산이 자외선 등으로 인해 과산화 되는 것을 억제해 망막 구조를 안정화 시키며 망막을 보호한다. 타우린을 많이 섭취하면 망막 건강을 지킬 수 있다.
꽃게 조리 방법에 따라 타우린 섭취량이 달라질 수 있다. 타우린은 수용성 아미노산이기 때문에 찜으로 먹게 되면 꽃게 살에 함유된 타우린을 다량 섭취할 수 있고, 탕으로 먹을 경우에는 싱겁게 조리해서 국물에 빠져나온 타우린을 효과적으로 섭취할 수 있다. 꽃게로 료리를 할 때에는 되도록 간을 싱겁게 하는 것이 좋다. 짠 음식들은 망막의 혈관이나 수정체의 변성을 유발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되도록 간을 싱겁게 하는 것이 좋다.
꽃게는 잡히는 시기에 따라 추천 조리법이 다르다. 꽃게 맛이 가장 봄에는 게딱지 속에 알과 내장이 가득한 암게가 많이 잡혀 간장게장으로 담고, 가을에는 여름 산란기를 마치고 살이 꽉 찬 수게로는 찜이나 탕으로 먹는 것이 좋다.
◇ 꽃게탕
<재료>
꽃게 4마리, 대하 4마리, 대파 2대, 미나리 한줌
육수재료- 무 1/3, 콩나물 100g, 양파 1개, 다시마 10g, 저민 생강 한줌, 깻잎 한 묶음, 물 2L
양념장 재료- 고춧가루 4큰 술, 된장 1큰 술, 고추장 3큰 술, 다진 마늘 3큰 술, 소주 3큰 술, 소금
<만드는 법>
① 꽃게를 구석구석 치솔로 닦아주고 게의 배딱지를 떼여내고 게 몸과 등딱지를 분리해 깨끗이 씻는다.
② 량쪽의 모래주머니와 내장, 머리 부분을 제거한 후 깨끗이 씻는다. 가위로 몸통은 2등분으로 토막 낸다.
③ 집게 다리 부분에는 칼집을 내고 다리는 한 마디만 남기고 다 잘라 준비한다.
④ 대하는 깨끗이 씻어 등에 있는 내장을 떼어내고 뿔을 잘라 준비한다.
⑤ 냄비에 다시마와 생강, 손질한 채소, 꽃게 다리를 넣은 육수팩과 물 2L을 넣고 센 불로 30분간 끓인다.
⑥ 대파는 굵직하게 썰고 미나리는 5cm길이로 길쭉하게 썬다.
⑦ 육수에 꽃게와 대하를 넣고 센 불에서 끓이다가 떠오른 거품을 걷어낸다.
⑧ 고추가루 4큰 술, 된장 1큰 술, 고추장 3큰 술, 다진 마늘 3큰 술, 소주 3큰 술 넣고 끓이면서 소금으로 간을 맞춘다.
⑨ 한소끔 끓어오르면서 꽃게와 대하가 탱탱하고 탄력 있게 익었을 때 대파와 미나리를 얹어 끓여 완성한다.
/매경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