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회 동계아시안게임 개최에 앞서 모든 시험경기가 23일 전부 끝난다. 시험경기를 통해 여러 경기장(관) (경기장소)이 어떤 성과를 거두었으며 본 경기 기준에 도달하기 위해 어떻게 개선했을가? 22일, 할빈동계아시안게임 메인 뉴스대변인 공개 및 전반 준비상황 뉴스브리핑에서 백지국(柏志国) 메인 뉴스대변인이 이에 대해 답했다.
백지국 대변인의 소개에 따르면 아시아올림픽평의회의 요구 및 국제 대형 스포츠경기의 관례에 따라 2024년 10월부터 2025년 1월 중순까지 잇따라 총 7차례 빙상종목시험경기와 10차례 설상종목시험경기 그리고 1차례 전 과정 시뮬레이션을 진행했는데 모든 경기장(관)(경기장소)과 경기종목을 아울렀다. 이 과정에 '대회 운영 규칙을 명확히 파악하고 인원 대오를 단련하며, 직책을 숙지하고 시설과 설비를 점검하며, 업무 메커니즘을 련마하고 대회 운영 경험을 축적하는' 목적에 기본적으로 도달함으로써 본 경기를 순조롭게 치를 수 있는 탄탄한 기반을 마련했다.
시험경기 기간에 13개 경기장(관) (경기장소)의 시설과 설비를 전면 점검하고 경기장소의 기자재, 타이머와 점수 기록 시스템, 무선통신망, 조명과 보온 시설, 영상 중계 설비 및 경관 표시 시스템에 대한 최적화 업그레이드를 진행했다. 또 경기장(관)(경기장소) 건축구조, 소방안전, 환경품질, 물 전기 난방 운행 등 방면의 안전점검을 꾸준히 실시하고 일련의 고강도 압력 테스트와 실전 시뮬레이션을 조직 전개함으로써 본 경기 기간 여러 경기장(관)(경기장소)의 안정적인 운행을 위한 안전 보장을 마련했다.
시험경기 기간 집행위원회의 통일적인 조률과 지휘하에 5개 경기장(관) 운행팀 전체 인원이 일선 근무를 견지하고 11명 경기 담당 주임이 경기의 조직을 전담했으며 500여명의 기술관원이 감독 지도를 맡고 국가체육총국 업무팀이 전면적으로 추적 지도를 진행했다. 시험경기를 거쳐 경기 조직능력이 대폭 향상했으며 부서 간, 분야 간의 더욱 밀접한 련결과 협력, 더욱 능숙한 업무 조직능력, 더욱 원활한 경기 운행을 실현함으로써 본 경기의 순조로운 진행을 위해 풍부한 실전경험을 쌓을 수 있었다.
출처: 흑룡강일보
편역: 전영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