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변경제사회가 고품질발전을 이뤄가는 형세하에 연변대학경영자과정총동문회 경제인들은 기업방문으로 새 리념과 발전을 추구하고 있다.
최근 연변대학경영자과정총동문회 7기회장단 및 각기회장단에서는 '경영인들 우수한 기업에서 고품질발전 배우자'라는 취지로 기업인 조광훈씨가 운영하는 연변범서방플라스틱유한회사와 아담한 조선족전통가옥이 자리잡은 '강녕마을'을 방문해 기업경영을 배우는 시간을 마련했다.
연변대학경영자과정총동문회와 7기회장단 및 각 기회장단에서 첫 목적지로 찾은곳은 연변범서방플라스틱유한회사였다.
이 회사는 기업인 조광훈씨가 설립한 해내외에서 인정받은 량질의 플라스틱 봉투를 생산하는 기업이다.
2002년 7월에 설립된 이 기업은 길림성 도문시 경제개발구에 위치해있고 총투자액이 3억3천만원에 달하며 건축면적은 7800평방미터이다. 120여명의 회사원들이 현대화한 생산설비를 운영하면서 일하고 있다.
기업현장에서 경영인들은 정규화한 생산라인에서 쉼없이 쏟아져나오는 전문 쓰레기를 담는 플라스틱 봉투제품을 료해하고 좌담회를 통해 고품질로 성장하고 있는 기업의 노하우를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
군인 출신인 조광훈씨는 1986년 31살의 혈기왕성한 젊은 나이로 도문시민족비닐공장 공장장직을 맡아 당시 리윤액 10만원의 집체소유제기업을 10여년의 임직기간 공장총자산이 1억5000만원, 생산액 1억원, 산하에 15개 계렬사로 발돋음하게 했다.
그리하여 도문시민족비닐공장은 당시 국가급선진기업소, 길림성의 유일한 국가경공업부 중점골간기업소로 부상했다.
이에 따라 조광훈씨는 길림성로동모범, 전국민족기업 우수기업 등 많은 영예를 수여받았다.
뿐만 아니라 당시 중한합자도문내쇼날플라스틱유한회사를 도문에 인입하고 총경리직을 맡아 회사를 일약 길림성과 전국의 외상투자 우수기업으로 일떠세웠고 2000년 사업의 수요로 이 회사를 떠나면서 1000만원의 개인주식 전부를 무상으로 도문내쇼날플라스틱유한회사 전체 직원들에게 공동주식으로 양도해 당시 훈훈한 화제를 모은바 있다.
이외에도 90년대 중기에 한국의 설비, 한국의 기술, 한국의 량질원료로 다기능 농업용비닐박막을 생산하는 연변제비필름유한회사를 인입하고 총경리직을 맡아 5년만에 1억원의 생산액을 올렸다.
연변범서방플라스틱유한회사는 현재 해내외 일류의 기술과 설비를 도입하고 직원을 근본으로 하고 고객을 최우선으로 하며, 품질을 엄격히 관리하는 '품질, 서비스, 기업의 가치'를 슬로건으로 기업의 고품질발전을 이뤄가고 있다.
조광훈총경리는 회사가 지난 20여년간 발전에 대해 "지금까지 해내외 고객들의 신임을 받으며 지속적으로 성장할수 있게 된 가장 중요한 비결은 평소 직원을 가족처럼 따뜻이 대하고 고객에 대해 신용을 생명처럼 간주했기때문이다'고 말했다.
지난 코로나기간 회사의 직원들은 회사를 자신의 집처럼 간주하고 자각적으로 외출을 삼가하고 생산현장에서 먹고 자면서 간고한 여건을 극복하고 생산을 보장했다.
때문에 코로나 라는 어려운 시절에도 제품생산이 보장이 되 고객들의 신뢰와 믿음을 받았다.
조광훈총경리는 "회사는 평소 직원들이 생산에 전념할수 있게 회사의 성장과 함께 직원의 월급과 복리대우를 높여줌으로서 직원들이 회사에 대한 애착과 기여로 되돌아오는 량성순환의 조화로운 환경을 가꾸어가고 있다"고 소개했다.
아울러 "회사는 매년 생산설비에 500만원을 투입해 해내외 과학기술함량이 높은 선진설비를 도입함으로서 제품라인이 시종 국외선전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면서 기업이 발전하는데 과학기술과 선진설비의 중요성에 대해 피력했다.
조광훈총경리는 자신은 평생 기업에 몸담으면서 하나의 성공비결이 있다면 바로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유일한 힘은 바로 행동력이다"고 강조했다. "나는 기업인으로서 평생 무엇이든 최선을 다하는 성격이다. 내가 가진 에너지는 100퍼센트지만 언제나 120퍼센트 이상의 에너지를 쏟으며 모든 일에 전력을 다해 달려왔다. 꿈이 있다면 행동하라"고 창업자들과 경영자들에 대한 소중한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연변범서방비닐유한회사에 대한 방문을 마친 경영자들은 두번째 목적지로 조광훈씨가 도문시 장안진 장상촌에 건설한 '강녕마을'을 찾았다.
강녕마을은 숲이 울창하게 우거진 조롱박형태로 3면이 산에 둘러싸였으며 고즈넉한 조선족전통가옥 군락이다. 전통가옥 11채에 마을 앞으로 감돌아 흐르는 시내물이 어우러져 마치 한폭의 수채화를 방불케 한다.
매일 마다 투수객 숙박 예약이 끊이지 않으며 올해는 새롭게 커피숍까지 개장했다.
이 마을은 연변조선족전통가옥문화협회 회장이기도 한 조광훈씨가 10여년전부터 기획하고 민족건축을 연구하는 전문가들과 힘을 모아 설계하고 지은 전통마을이다.
이날 연변대학경영자과정 경영인들은 전통가옥에서 홍송나무의 은은한 향을 맡으며 마루에 걸터앉아 즐겁게 이야기를 나누며 즐거운 추억을 남겼다.
연변대학경영자과정총동문회 리덕봉회장은 "오늘 기업방문으로 고품질발전을 이루며 성장하고 있는 기업을 읽는 시간을 가지게 되였을 뿐만 아니라 조선족전통가옥의 매력을 페부로 느끼게 되였다"며 "앞으로 경영인들이 기업의 리념과 노하우를 배워 더 발전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출처:흑룡강신문
편집:김철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