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8년 12월 중국 공산당 제 11기 중앙위원회 제 3회 전체회의(3중전회)에서 등소평은 세계 력사를 바꿀 새로운 국가 발전 전략을 제시한다. 중국 공산당의 혁명로선은 유지하되, 개혁과 개방을 통해 시장경제를 도입한 것이다. 이후 45년의 세월이 흘러 중국은 가난한 저개발 국가에서 세계의 중심 국가, G2로 우뚝섰다.
오늘날 국제관계는 미국과 중국의 양강을 중심으로 흘러간다. 45년전 국제관계는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참으로 격세지감(隔世之感)이요, 상전벽해(桑田碧海)가 아닐 수 없다. 20세기 이후 인류 력사의 최고 기적은 1776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미국이 세계 최강 국가로 발전한 것과 서구 열강의 반식민지 국가였던 중국이 세계 2위 경제ㆍ국방 대국으로 성장한 것을 꼽을 수 있다. 이 두가지 기적 중 중국의 경우가 돋보이는 것은 미국이 세계 최강이 되는 데 200년이 넘게 걸린 반면 중국은 불과 45년만에 세계 2위 대국이 되였다는 것이다.
중국의 개혁개방을 상징하는 도시는 선전(深圳)이다. 광동성 남부 주강(珠江) 동쪽에 있는 심천은 개혁개방 당시 인구 30여만명의 한적한 농어촌 소도시였으나, 지금은 중국을 넘어 세계적인 경제도시로 발전했다. 개혁개방 이후 최초이자 최대의 경제특구로서 현재 화위(華爲), 텐센트(騰訊), 비야디(比亞迪, BYD) 등 글로벌 첨단기업을 다수 보유한 도시로 성장했다. 인구 또한 빠르게 증가하여 2021년말 현재 1786만 명에 달하는 거대도시가 되었다. 심천 특구를 만든 지도자가 습근평 주석의 부친인 습중훈 전 국무원 부총리였다.
중국의 개혁개방은 기적이지만 그것은 단순한 운(運)이 아니라 중국 공산당의 리더십과 인민의 노력이 함께 일군 기적이다. 또한 중국식 현대화가 이룩한 기적이기도 하다. 이것은 서구식 현대화와 전혀 다른 인류의 새로운 국가발전 모델이 되었다.
18세기 영국에서 시작된 산업혁명은 시장경제를 기반으로 한 서구식 현대화를 촉발했다. 영국이 시작하고 프랑스와 독일이 뒤따랐고, 이후 세계는 서구 렬강과 식민지 국가로 양분되었다. 서구식 현대화는 수탈과 착취, 침략과 전쟁, 로동과 자본의 갈등, 환경 파괴 등을 기반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서구식 현대화는 선발 선진국과 후발 선진국간의 갈등을 촉발시켜 세계 대전의 참화로 이어지기도 했다.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독립한 신생 개발도상국 중 한국은 서구식 현대화 모델로 성공한 국가이나, 대다수 국가들은 여전히 현대화에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 서구식 현대화는 기득권 수호와 패권적 국제질서 유지를 위해 저개발 국가들의 빈곤과 기후변화, 질병 등 인류의 지속 가능한 생존과 직결된 문제들을 외면하고 있다.
이에 반해 중국식 현대화는 서구식 현대화와 다른 길을 제시한다. 중국식 현대화는 평화ㆍ개방ㆍ공생ㆍ공영의 가치를 추구하는 발전 모델이다. 이는 식민지와 전쟁, 갈등을 수출하는 서구식 현대화와 차별화된 제 3의 길을 추구한다. 인류의 공생과 공영, 인류운명공동체를 위한 협력과 연대를 강조한다. 중국의 개혁개방 45년의 성취는 착취와 수탈, 전쟁이 없는 평화로운 현대화, 즉 중국식 현대화의 위대함을 보여주는 실증 사례이다. 중국은 식민지를 만들지 않고 경제 강국을 건설했다. 그것이 인류를 위한 진정한 기적이다.
필자/권기식 한중도시우호협회장(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