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천연가스 등 에너지 가격 상승 여파로 전기료금이 치솟으면서 미국 6가구중 1가구가 제때에 료금을 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저소득층 가정에 대한 에너지 지원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에너지지원관리자협회(NEADA)에 따르면 미국 전역에서 약 2000만가구가 전기료를 체납중이라고 했다.
캘리포니아주의 한 전력업체에 따르면 2020년 2월 이후 전기료금을 체납한 가정이 40% 넘게 늘었고 뉴저지주 다른 전력회사에 따르면 올해 3월 이후 90일 이상 전기료를 연체한 소비자가 30% 이상 증가했다.
NEADA에 따르면 미국 가정의 에너지 료금 체납액은 약 160억달러로 코로나19 확산 이전의 2배가 됐다.
NEADA 관계자는 “료금이 싸지 않다. 저소득층은 낼 수가 없다.”고 말했다.
미국의 7월 평균 전기료는 전년 동기 대비 15% 올랐다. 이는 2006년 이후 최대 상승률이다.
전기료금에 비용 인상분을 반영하는 데는 시차가 있는 만큼 전기료 인상은 이제 시작일 뿐이라는 관측도 있다.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속에 점점 많은 사람이 식료품, 주거, 전력 가운데 일부를 포기해야 하는 처지에 놓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단전 문제를 다루는 환경단체 생물다양성쎈터 관계자는 향후 다수 가정의 전기가 끊기는 ‘단전 쓰나미’ 가능성을 우려했다.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에 거주하는 에이드리엔 나이스는 인터뷰에서 지난달 3000달러가 넘는 전기료금을 체납해 35℃에 이르는 무더위 속에 집 전기가 끊어졌던 경험을 소개했다. 그는 코로나19로 타격을 입은 데 이어 인플레이션까지 부담이 되고 있다면서 사실상 전기료금이 1년 새 2배로 뛴 만큼 전기료금을 낼 돈을 챙겨두기가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예전보다 전기를 아껴 쓰고 있지만 전기료금은 매월 244달러 정도로 별 차이가 없다면서 “전기료금이 왜 이렇게 비싼지 리해할 수 없다.”고 호소했다.
통계에 따르면 에너지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미국 저소득 가구의 에너지 사용 료금은 2019년 2511달러에서 지난해 3399달러로 치솟았고 올해에는 3957달러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올 7월 미국의 평균 전기 료금은 1년 전보다 15% 상승해 2006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인상됐다.
미국의 저소득 및 중산층 가구는 심각한 인플레이션으로 식품, 모기지, 수도, 전기, 가스 등 료금 지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때문에 수많은 가구가 무더위에도 에어컨을 켜지 못하는 상황까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심지어 일부 가구는 지속된 체납으로 끊긴 전력을 회복하기 위해 식품, 의약품 등 생필품 비용을 줄여야 하는 상황까지 내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의 경우 사정이 더 심각해 독일과 영국 등에서는 정부가 에너지 보조금을 늘이고 있으며 미국내에서도 보조금 지원 요구가 나오고 있다.
출처: 연변일보
편집: 정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