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기식 한중우호도시협회 회장 한양대 연구교수
권기식 한중도시우호협회 회장, 전 한양대 아태지역연구센터 연구교수는 일전 신화사 기자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미국은 아태지역 동맹국과 나토를 한데 묶어 아태지역에서의 자신의 군사적 영향력의 약점을 보완하려 한다고 말하면서 아태국가들은 미국이 나토를 리용해 진영을 나누고 지역 모순과 충돌을 격화시키려는 위험한 시도를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토 정상회의가 지난 6월 29일부터 30일까지 스페인 수도 마드리드에서 소집되였다. 이번 정상 회의에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비나토 회원국인 일본, 한국, 호주, 뉴질랜드가 초청되였다. 권기식회장은 이 배후는 나토를 선동해 아태지역에 개입하여 중국과 러시아 등을 억제하려는 미국의 음모라고 주장했다.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크라이나 위기가 격화된 이래 세계안보형세에는 아주 큰 변화가 일어났다. 미국은 나토의 군사정치력량을 빌어 아태지역에서의 영향력을 유지하려 한다. 그러나 유럽의 군사력이 아태지역에 개입한다면 이는 국제질서 발전의 후퇴를 초래하고 역내 군비경쟁을 유발하며 지역긴장을 더욱 격화시키고 진영대결을 유발하며 지역단결과 협력을 파괴하고 지역안정과 경제발전을 저애하게 된다.
권회장은 미국이 이번 나토 정상회의와 G7정상회의를 동맹국을 결집시키는 '블록 정치'와 패권 유지를 위한 동맹강화 전략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그 최종 목표는 중국을 봉쇄하고 점점 커지는 중국의 글로벌 영향력을 약화시켜 미국의 글로벌 패권 지위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는 미국이 세계화 시대에 역행하는 '패거리'와 '작은 파벌'을 뭇고 있는데 자기만의 리익을 위해 세계 평화와 경제 번영을 파괴하고 있다고 꼬집으면서 이는 국제질서를 과거 랭전시대와 같은 구조로 되돌리고 군사안보, 경제, 방역, 기후환경 등 각 분야에서의 국제협력을 훼손시켜 전 인류의 발전을 크게 위협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권회장은 또 한국이 나토와 같은 군사 동맹과 손을 잡는다면 매우 위험하며, 이는 반도를 포함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안정과 번영에 불리하다면서 한국은 미국의 불장난에 맞춰 춤을 추며 반도 평화에 위험을 초래해서는 안된다고 력설했다.
/신화사 한중도시우호협회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