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을 맞아 뜨거워진 햇빛에 선크림을 챙겨 바르는 사람이 늘고 있다. 하지만 자신의 피부 타입에 맞는 선크림은 무엇인지, 상황별로 어떤 선크림을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모르는 사람이 대다수다.
선크림, 크게 3가지로 나뉘어
선크림은 자외선을 차단하는 방법에 따라 크게 세 가지 ‘유기자차’ ‘무기자차’ ‘혼합자차’로 나뉜다. 유기자차는 피부에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아보벤존, 옥시벤존 등의 성분을 발라 자외선을 화학적으로 차단하는 방식이다. 이 성분들이 자외선을 피부에 흡수한 후 열로 방출시켜 차단 효과를 낸다. 유기자차는 피부가 하얗게 변하는 백탁 현상이 없으며 피부 발림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이 때문에 파운데이션 전 단계에 사용해도 화장을 들뜨지 않고 촉촉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유기자차에는 화학성분이 다량 들어 피부 트러블, 눈 시림 등이 생길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민감성 피부나 트러블성 피부는 유기자차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다. 무기자차는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로, 징크옥사이드나 티타늄디옥사이드 등 무기 화합물 성분을 얼굴에 발라 형성된 막이 자외선을 반사하거나 분산시킨다. 유기자차에 비해 피부 자극이 적고, 눈 시림이 덜해 민감성 피부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발림성이 떨어지고 백탁 현상이 나타난다. 이 때문에 메이크업 전 사용하면 밀림 현상이 있을 수 있다. 혼합자차는 유기자차와 무기자차를 혼합한 것이다. 피부 자극이 적으면서 발림성도 좋다. 다만, 혼합자차 중에서도 무기차자 비율이 큰 제품이 있고, 유기자차 비율이 큰 제품이 있어, 성분을 확인한 후 구매하는 것이 좋다.
외출 상황과 시간 맞춰 골라야
선크림을 외출 상황과 외출 시간에 따라 달리 선택하는 것도 방법이다. 이때는 제품 표면에 쓰여 있는 PA 지수와 SPF 지수를 확인하면 된다.
PA 지수는 자외선 중에서도 320~400nm의 긴 파장을 가지고 있는 UVA를 차단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UVA는 파장이 길어 피부 속 깊이까지 침투하며, 색소침착과 피부 노화 등 피부 문제의 주범이다. PA 지수는 +의 개수로 표시되는데, +는 아무것도 바르지 않았을 때보다 자외선을 2배 차단한다는 의미다. +개수가 더해질수록 4배, 8배, 16배의 자외선 차단 효과가 나타난다.
SPF는 자외선 중에서 280~320nm의 비교적 짧은 파장을 가지고 있는 UVB를 차단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UVB는 파장이 짧기 때문에 피부에 큰 에너지를 가해, 피부에 홍반, 기미, 주근깨 등을 발생시킨다. SPF는 15, 30, 50 등의 숫자로 표시된다. 이때 SPF 15는 자외선 량이 1일 때 SPF15의 선크림을 바르면, 피부에 닿는 자외선 량이 1/15로 줄어든다는 의미다. 따라서 숫자가 클수록 자외선 차단 효과가 커진다.
하루 대부분을 실내에 머무르는 사람이라면 PA++, SPF 15~30 정도가 적당하다. 자외선 차단 지수가 높을수록 피부에 자극이 되는 성분들도 많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실내 활동이 주를 이룰 때는 자외선 차단 지수가 과하게 높지 않은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기 때문이다. 다만, 야외활동 시에는 PA++ 이상, SPF 30~50 제품을 선택해야 한다. 또한 지속적인 자외선 차단 효과를 위해서는 야외에서도 중간중간 덧바르는 것이 좋다. 피부과 전문의들은 “높은 지수의 차단제를 한 번에 듬뿍 바르는 것보다 중간 정도의 자외선 차단제를 수시로 덧바르는 것이 낫다”고 말한다.
바른 뒤 클렌징 꼼꼼히 해야
선크림의 1회 사용 권장량은 성인 기준 0.8~1.2g이다. 권장량을 모양으로 보면, 대충 1원 동전 정도다. ‘JAm Acad Dermatol 저널’의 피부과학 분야에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선크림 권장량의 4분의 1 수준의 량만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경우, 자외선 차단 효과도 4분의 1로 줄어든다. 따라서 선크림은 권장량을 지켜 충분한 량을 도포해야 한다. 또한, 선크림 사용 후 꼼꼼히 클렌징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선크림에 들어 있는 다량의 화학성분 때문이다. 만약, 제대로 클렌징하지 않는다면, 직사광선으로 인해 활성화된 모공을 선크림이 자극해 발생하는 ‘말로카 여드름’이 나타날 수도 있다. 특히 땀이나 물에 잘 지워지지 않는 워터프루프 선크림의 경우 더욱 꼼꼼한 클렌징이 필요하다.
출처: 종합
편집: 왕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