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에 직접 닿는 온열제품을 사용할 때는 특히 저온화상에 주의해야 한다. 저온화상은 초기증상이 경미하여 눈치채지 못하고 지나갈 수도 있는데 그대로 두었다간 증상이 심각해지는 경우가 많아 겨울철 주의를 해야 하는 질환중 하나다.
-저온화상이란?
저온화상은 말 그대로 섭씨 40~45도 수준의 높지 않은 열에 장시간 로출됐을 때 발생할 수 있는 화상이다. 저온화상을 입었을 경우 색소 침착 등으로 인해 흉터가 남을 수 있으며 이 흉터가 1년 이상 지속되기도 한다.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서서히 발생하다 보니 심해지기 전까지 통증을 비롯해 증상을 자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저온화상 예방하기
저온화상을 막기 위해서는 평소 사용하는 온열제품의 사용법을 꼼꼼히 숙지할 필요가 있다. 전기장판의 경우 바닥에 펼친 뒤 얇은 패드나 이불 등을 한겹 깔고 사용하도록 하며 온도는 섭씨 40도 정도 그리고 타이머 기능이 있다면 미리 시간 설정을 하여 너무 장시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핫팩의 경우에도 피부에 직접 닿지 않게 옷 우에 붙여야 하며 장시간 부착하는 것을 금한다.
-초기증상 경미, 속은 심각
저온화상은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피부 손상이 루적되면서 화상을 입는 경우로 고온에 일시적인 로출로 생기는 일반 화상과는 다르다. 저온화상은 바로 알아차리기 어렵고 초기증상이 경미하여 그냥 지나가는 경우가 많은데 오히려 조직손상이 깊은 곳까지 이루어지면 피부조직 괴사나 궤양 등 심각한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영유아, 로인 등 특히 주의
온도를 느껴서 알아채는 질환인 만큼 몸을 잘 움직이기 힘든 영유아나 로인, 당뇨병이 있는 사람이나 척추질환으로 인해 감각 저하가 있다면 온열제품은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과음했거나 수면제 복용으로 깊이 잠든 경우에도 온열제품 사용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핫팩 사용시 주의점
핫팩 사용시에도 피부에 직접 닿지 않도록 반드시 옷 우에 붙이도록 하며 최고 온도가 섭씨 50~70도까지 올라가는 만큼 장시간 부착할 경우 화상으로 이어질 위험이 높다. 한 부위에 집중적으로 사용하지 말고 여러 부위로 옮겨 사용하며 몸 근처에 핫팩을 둔 채 잠들지 않도록 한다.
-사용중 피부가 간지럽다면
저온화상의 증상으로는 하얗게 물집이나 수포가 생기고 피부가 붉어지면서 따갑고 가려움이 있다. 열성 홍반이 나타날 수 있지만 이때 통증은 동반하지 않는다. 심한 경우 피부 괴사와 색소 침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초기에는 붉은 반점 모양으로 나타나다가 점점 갈색 그물 모양으로 변하기도 한다. 이러한 증상들은 전부 저온화상으로 인해 생기는 것들이니 지체 없이 병원에 방문해야 한다.
-저온화상 입었을 경우 대처법
저온화상을 입은 것을 발견했다면 차거운 수도물이나 생리식염수로 화상부위를 씻어낸다. 화상부위를 랭찜질해야 할 경우 수건을 활용해 얼음이 직접 피부에 닿지 않도록 한다. 방치할 경우 통증이 심해지거나 수포가 발생할 수 있고 궤양 등으로 악화될 수 있다. 심한 경우 괴사가 진행될 수 있으니 가까운 병원으로 반드시 방문해야 하고 소주, 된장 등의 민간료법은 피부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출처: 연변일보
편집: 왕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