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종식 신호탄 기대
코로나19 새 변이 ‘오미크론’에 대한 희망적인 분석이 계속 나오고 있다. 기존의 바이러스에 비해 전염성은 강하지만 중증도 증상이 적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오미크론이 팬데믹을 종식시킬 수 있는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말까지 나온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학연구위원회는 5일(현지시간) “지난 2일 기준으로 가우텡주 츠와네 지역의 스티브 비코 종합병원 코로나19 병동 입원환자 42명중 29명(70%)은 산소치료가 필요하지 않았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츠와네 지역은 오미크론 확산의 글로벌 진원지로 지목된 곳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29명은 어떤 호흡기 증상도 나타나지 않았다고 한다. 모두 코로나19가 아닌 다른 의학적 치료를 받으러 병원을 찾았다가 우연히 확진 판정을 받은 ‘우발적 코로나19 입원 환자’라고 의료진은 전했다.
산소치료를 받은 13명중 9명은 코로나19로 인한 페염 진단을 받아 스테로이드를 처방받고 있다. 나머지 4명은 코로나19와 무관한 다른 의학적 리유(심부전 등 기저질환)로 산소 보충치료를 받고 있다고 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학연구위원회 에이즈·결핵연구소의 파리드 압둘라 소장은 “초기 코로나19 류행이나 다른 변이 확산 때는 병원에 오는 환자 대부분이 산소치료를 받아야 했다.”면서 “지금은 고작 4명의 환자가 집중치료실에 있고 1명만 중환자실에 있다. 이는 과거 류행 때 볼 수 없었던 모습이다.”라고 말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오미크론이 남아프리카공화국에 퍼지기 시작한 무렵으로 추정되는 지난달 14일-29일 해당 병원에 166명의 신규 입원환자가 나왔는데 이들 대부분도 산소치료가 필요하지 않았다. 이들의 평균 입원 기간도 2.8일로서 직전 18개월 평균치인 8.5일보다 크게 낮았다.
중증도 지표인 병원내 사망률은 지난 2주간 6.6%(10명)였다. 사망자 4명은 26~36세, 5명은 60세 이상이였다. 나머지 1명은 어린아이지만 사망 원인은 코로나19와 무관했다. 이는 이전 18개월 병원내 사망률 17%에 비해 크게 낮은 수치이다. 아프리카보건연구소의 빌렘 하네콤 소장은 “전체적으로 이 질병은 (증세가) 더 가벼운 것으로 보이지만 지금은 매우 초기”라고 말했다. 보고서는 “질병의 중증도가 높아질 수 있는 만큼 향후 2주 동안 추세를 봐야 명확히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까지 연구결과로 볼 때 오미크론 변이가 델타 변이보다 전파력은 강하지만 중증 위험도는 덜하다는 분석에 힘이 실린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아직 오미크론 변이 감염자중 사망자는 단 한명도 없다.
출처: 연변일보
편집: 정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