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2017년, 국가에서는 해륜, 쌍성, 북림 등 9개 현(시, 구)에서 처음으로 흑토지 보호리용 시점사업을 전개하였다. 2018~2020년, 국가에서는 빈현, 청강현, 보천령농장 등 15개 현(시, 농장)에서 흑토지 보호리용 시점사업을 전개하였는데 그중 해륜, 극산, 화천, 룡강 등 4개의 첫 시점 현(시)을 정건제추진현(시)으로 삼고 계속하여 시점 사업을 추진하였다.
최근년간 국가 자금의 지지하에 우리성 흑토지 보호리용 시점 업무가 끊임없이 깊이있게 진행되였다. 2015년부터 지금까지 두번에 나뉘여 20여 개 현(시, 구, 농장)이 흑토지 보호리용 시점에 들어갔으며 거의 20억원이 투입되였다. 프로젝트, 농예, 생물 등 종합 조치를 취하고 토지사용과 토지보호를 결합시킨 결과 토양유기질 평균 함량이 2015년 시점 실행 전에 비해 3.6% 높아졌으며 경작지 질도 평균 0.54개 등급이 인상되였다.
성농업환경및경작지보호소에서 입수한데 따르면 우리성 흑토경작지 면적은 2.39억무로 동북 흑토구 경작지면적의 50.6%를 차지한다. 그중 흑토, 흑칼슘토, 습지토, 암갈색토양, 점토반토양을 위주로 하는 전형적인 흑토경작지 면적은 1.56억무로 동북 전형적 흑토구 경작지 면적의 56.1%를 차지한다. 흑토지보호는 푸른하늘보위전보다 더 어렵고 회복과정이 더욱 크며 투입 비용이 더욱 높다. 이를 위해 국가에서는 동북 흑토지 보호리용 시점 사업 방면에서 우리성에 매우 큰 지원을 하였다. 2015년~2017년, 매년 2억6000만원을 투입하여 해륜, 쌍성, 북림 등 9개 현(시, 구)에서 첫 흑토지 보호리용 시점 업무를 전개하였는데 매 현(시, 구)의 년간 지원금이 3000만원에 가까왔고 실행면적은 10만무 이상이였으며 시점 총면적은 90.2만무에 달했다. 2018년~2020년, 매년 3.8억원 투입하여 빈현, 청강현, 보천령 농장 등 15개 현(시, 농장)에서 흑토지 보호리용 시점 업무를 전개하였는데 그중 해륜, 극산, 화천, 룡강 등 4개 첫 시점 현(시)를 정건제추진현(시)으로 삼고 계속하여 시점을 실행하여 매 현(시)에 매년 약 4000만원을 지원하였으며 실행 면적은 50만무 이상에 달하였다. 11개의 새로 증가한 시점 프로젝트현(시, 농장)의 년간 지원금은 약 2000만원에 달하였고 실행면적은 20만 무 이상에 달했으며 시점프로젝트 총면적은 432.4만무에 달했다.
6년간 각 시점프로젝트지역은 각지 구체적인 실정에 맞게 종합적인 기술조치를 취하여 흑토경작지 질을 높였고 흑토지 보호리용 기술모식을 형성하였다. 2015년~2017년 9개 시점현(시, 구) 프로젝트구 토양감시측정수치에 따르면 토양유기질 평균함량은 2015년 시점실행 전보다 3.6% 많아졌으며 경작지 질도 평균 0.54 등급 높아졌다.
시점을 틀어지고 제도를 구축하고 모식을 추진하고 프로젝트의 시범 인솔 역할을 통해 현재 전성적으로 흑토경작지보호시범구 건설 면적이 1000만 무에 달했다.
/흑룡강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