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설명: 한국무역협회가 22일 개최한 '제3회 한-산동성 경제통상협력 교류회'에서 무역협회 김영주 회장이 영상으로 축사를 전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는 지난 22일 산업통상자원부, 중국 산동성 인민정부와 공동으로 '제3회 한-산동성 경제통상협력 교류회'를 화상으로 개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교류회는 2016년 산동성, 2018년 서울 행사에 이은 3회째 행사이다. 올해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일정이 계속 연기되다 온라인 화상으로 개최됐다.
김영주 무역협회 회장은 축사에서 "코로나19의 장기화 등 최근 어려운 상황 속에서 이번 교류회를 통해 양국의 미래 성장동력을 발굴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리간제 산동성장은 "작년 한국과의 서비스무역 규모는 331억4000만 원 인민페(한화 약 5조6300억원)으로 한국은 산동성 전체 서비스무역의 13.9%를 차지하는 나라"라며 "중국에서 K-팝, K-드라마 등의 인기가 갈수록 더 높아지고 있는 만큼 앞으로 량국 서비스 무역을 더욱 확대해 나가자"고 말했다.이날 개최된 '한-산동성 경제무역협력 포럼'에서는 신산업·제조업·방역 등 분야의 양국 석학과 기업인들이 나서 협력 방안과 사례에 대해 발표했다.
정은미 산업연구원 성장동력산업연구본부장은 "4차 산업의 영향으로 중국 중심의 글로벌가치사슬(GVC)이 변화되고 있지만 양국간 협력 분야는 여전히 많다"며 "중국이 최근 한국과 손잡고 5세대 이동통신(5G), 스마트시티 등 디지털인프라 구축사업에 나서고 있는데 우리 기업들이 이를 신제품 시장 창출의 기회로 잡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날 행사에서는 한국 기업과 산동성 정부 및 기업 간 청도 인공지능(AI) 산업단지 건설, 반도체 소재 연구개발센터 건립 등 22건, 7억2000만달러 규모의 투자 및 협력 프로젝트 협약식이 진행됐다.
이어 화장품, 기능성 의류, 생활가전 등 국내 기업 38개사와 산동성 기업 20개사 간의 수출입 상담회도 화상으로 개최됐다.
한편, 산동성은 중국 내 경제규모 3위, 글로벌 교역규모 5위로 중국의 대표적인 경제·산업 중심지이다. 한국과는 지리적으로 가장 린접해 있고 양국 정상이 합의한 한-중 산업협력단지와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지방경제협력 시범구가 자리잡고 있다.
아울러 현재 4200여개의 한국 기업이 산동성에 진출해 지역의 일자리 창출과 경제 성장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량국의 교역과 투자를 이끌고 있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