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투자 안정성을 중점적으로 고려
11월들어 상해종합지수와 심수종합지수는 상승세를 나타냈다. 업계인사에 따르면 국무원에서는 적극적인 재정정책과 적당하고 완화된 화페정책을 실시할것을 명확히 제기한데다 이번에 예금 및 대출기준리률과 예금준비금률을 대폭 인하한것은 지속적으로 조정하고있는 A주식시장에 동력을 주입하기 위한것이다.
"세계시장의 불안정영향을 받아 국내 주식시장은 여전히 불안정적인 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한데다 국내소비의 시동효과도 비교적 긴 시간이 지나야 나타날수 있기에 투자자들은 주식투자를 단기내에 여전히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업계인사는 지적했다.
최근들어 적잖은 상업은행의 리재제품은 투자자들의 질의를 받아왔다. 비록 판매할 때의 예기수익률은 비교적 높지만 만기가 되면 저수익 혹은 마이너스수익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기때문이다.
이에 업계인사는 은행에서 판매하는 리재제품은 시장환경과 련관성이 비교적 크기에 투자자들은 해외시장과 련관이 있는 제품을 신중하게 선택할것을 건의했다.
장기적인 투자리념수립이 필요
남개대학재무관리학부 리려주임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형세에 처해 있을수록 투자자들은 장기투자리념을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 특히 위험감당능력이 비교적 낮은 투자자들은 리재에 대한 학습과 계획을 강화하고 투기 등 심리를 버려야 한다."고 말했다.
주식시장이 불안정한 형세하에 적잖은 투자자들은 위험성이 적고 수익이 안정적인 채권 혹은 채권형 기금을 선택하고있다. 최근들어 각지 국채판매시장에서 국채가 불티나게 팔리는 경우가 흔하다. 국채는 위험성이 적고 상대적으로 수익이 높아 많이 투자자들이 선택하고있기때문이다.
수치에 따르면 리률의 인하는 채권의 상대적인 수익을 증가하였으며 최근 채권시장은 비교적 큰 폭의 인상을 형성했다. 기금회사에서 발표한 3분기 수치에 따르면 올해 57개 채권형 기금의 3분기 순수익가중평균성장률은 2.39%에 달했다.
불안정한 형세하에 채권은 '대피항'으로 될수 있지만 이를 단순한 단기투자도구로 생각해서는 안된다. 특히 안정형인 투자자들을 놓고 볼 때 채권 및 채권형 기금은 자산조합가운데서 없어서는 안되며 이 또한 자산배치에 장기적인 우세를 나타낸다고 업계인사는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