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경 시간 7월 11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네스코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 회의는 중국이 신청한 ‘서하릉(西夏陵)’을 세계유산목록에 등재하기로 결의했다. 이로써 중국의 세계유산 총수는 60곳으로 늘어났다.
서하릉은 중국 서북 지역에서 11세기부터 13세기까지 당항족(党项族)이 건립한 서하 왕조(1038~1227년)의 릉묘 유적군으로, 녕하(宁夏) 회족 자치구 은천(银川)시에 위치해 있으며, 중요한 자연지리적 경계선 역할을 하는 하란(贺兰)산맥 남단 동쪽 기슭에 자리하고 있다. 분포 면적은 약 40평방킬로미터에 이른다. 서하릉에는 황제릉 9곳, 배장묘 271곳, 면적이 5만 평방미터가 넘는 북단건축 유적, 홍수 방지 시설 유적 32곳인 포함되어 있으며, 첩첩한 산봉우리와 하란산의 지세와 어우러져 웅장하고 장대한 릉묘 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서하릉은 서하 왕조가 남긴 유적 중 규모가 가장 크고, 등급이 가장 높으며, 보존 상태가 가장 완전한 고고학 유적으로, 서하 왕조가 실크로드에서 중계 허브 역할을 했음을 립증한다.
서하릉은 위치와 공간 배치, 능묘 제도, 릉묘 건축, 장례 풍습 등 여러 측면에서 당송 시대 황제릉 제도와 전통 목조건축 체계를 전면적으로 계승했으며, 당항족, 토번, 회흘, 거란, 녀진 등 다민족 문화 전통을 흡수해 이 시기 몽골 고원과 청장(青藏)고원 사이에서 녕하(宁夏) 평원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민족, 문화가 상호 교류하며 빚어낸 문화적 융합과 혁신의 특징을 충분히 보여준다. 서하릉은 진실성과 완전성을 갖춘 채 오늘날까지 보존되어, 중화문명의 다원일체 구조와 통일된 다민족 국가 형성 과정을 증명하는 중요한 사료가 되며, 세계 문명사에서도 대체 불가능한 중요한 지위를 가진다.
출처: 중국국제방송
편집: 장성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