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는 '2023 태원에너지저탄소발전포럼'에 초청돼 지난 9월 5일~8일 산서(山西)성 태원(太原)시를 방문했다. 산서성이 지난 2017년부터 개최한 '태원에너지저탄소발전포럼'이 올해는 산서소하국제회의센터에서 열렸다. 5성급 호텔과 컨벤션센터, 전시장이 함께 어우러진 최첨단 컨벤션센터는 6개월전에 문을 열었다고 한다. 개관후 첫 국제행사인 만큼 정부측의 준비는 철저했다. 참석자들에게 작은 불편도 주지 않으려는 배려가 느껴졌다.
글로벌 책임대국으로 자임하는 중국이 환경과 빈곤 등 글로벌 의제에 대해 신경쓰고 있다는 것이 잘 느껴지는 행사였다. 산서는 원래 '석탄의 고향'이라는 별칭이 있을 정도로 석탄이 많이 나는 고장인데 이런 곳에서 세계적인 에너지 환경포럼이 열린다는 것이 놀랍다. 가히 역발상의 지혜가 아닐 수 없다. 이 놀라움과 함께 태원포럼에서 중국과 세계 각국에서 온 수많은 지도자ㆍ기업인들과 대화한 것은 큰 즐거움이었다.
필자가 태원시 상무부시장과 6일 오찬을 한 곳은 진사호텔로 예전부터 산서성 영빈관으로 사용한 만큼 고풍스럽고 품격이 느껴지는 호텔이었다. 이 호텔 중식당에서는 산서성 특미 료리를 여러가지 내왔다. 그 중 우리에게 익숙한 도삭면(刀削麵)도 있었다.
산서성의 명물 도삭면을 만드는 료리사.
중국에는 '한 개의 도시에는 하나의 맛이 있다(一城一味)'라는 말이 있다. 그러면 산서의 맛은 무엇일까? 도삭면을 비롯한 다양한 면(麵) 료리가 아닐까 싶다. 산서성에는 1천여가지의 면 료리가 전해져온다고 한다. 며느리가 시집을 오면 하루 3끼 면 료리를 해도 3년을 해야 할 정도로 면 료리법이 다양하다고 한다. 아침에 일어나 산서TV를 틀으니 면 료리대회(麵食大會)라는 프로그램을 할 정도다. 면에 관해서는 더 말할 나위가 없을 듯 하다. 산서는 석탄의 고향일뿐만 아니라 중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면 료리의 고향이다.
7일 오전 산서성 정부 안내로 평요고성(平遼古城)을 방문했다. 평요고성이 위치한 진중(晉中)시 평요(平遙)현 관계자들이 현지 안내를 맡았다. 평요고성은 2800년의 력사를 갖고 있으나, 지금 건물들은 대부분 명청(明淸)시대 건물들이다. 중국에서 가장 원형이 잘 보존된 고성이라고 한다. 또한 주민들이 실제 거주하면서 관광객들을 상대로 장사를 하거나 민박을 운영하고 있다. 그래서 지난 199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고성 거리를 관광객들이 다니고 있다.
고성 거리를 걸으면 갑자기 타임머신을 타고 수백년전 명청시대로 돌아간 느낌이 든다. 살아있는 박물관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거리에는 산서성 특산인 도삭면을 파는 식당과 식초, 소고기 육포를 파는 점포들의 호객소리가 관광객들을 유혹한다. 천년의 소리가 들리는 듯 하다. 고성은 동서남북의 큰 거리와 관청 건물, 은행 등이 잘 보존되어 있다. 청나라 당시 이곳에 22개의 은행이 있었으니 중국의 월스트리트로 불리워도 손색이 없을 듯하다. 수천년간 잘 보존된 평요고성도 과거 일본군의 포격을 받았다고 하니 일본 제국주의의 만행이 새삼 느껴진다. 고성 거리에는 옛날 명청시기의 옷을 입고 다니는 녀성들이 많이 보였다. 산서성이 중국 4대 미인 중 양귀비와 초선 등 2명을 배출한 미인의 고장이라는 말이 맞는 듯 싶다.
평요고성 전경. 마치 살아있는 박물관을 보는 듯 하다.
평요고성에 있는 호텔에서 산서성 외사판공실 직원들과 오찬을 했다. 산서성 특색 료리들이 나오고 식사로 도삭면이 나왔는 데 너무 맛이 있어 두그릇을 비우니 동석한 사람들이 놀랍다는 반응이다. 식사후 고성 인근에 있는 쌍림사(雙林寺)에 들렀다. 고성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고풍스러운 사찰이다.
7일 오후 태원 시내로 들어왔다. 태원시 행정ㆍ경제 중심지인 영택(迎澤)구 조진평 구장의 안내로 종루가(鍾樓街)를 둘러봤다. 중국 유수의 개발기업과 함께 2년전 북경 왕부정(王府井) 거리를 모델로 새롭게 개발한 상점 거리는 젊은이들의 명소로 탈바꿈했다. 스타벅스를 포함한 수많은 다국적 기업들이 입점해 있었다. 이곳에 한국 기업과 음식점이 보이지 않는 게 아쉬웠다. 조 구장은 한국 기업의 진출을 도와달라는 말을 잊지 않았다. 이런 적극성은 한국 지방정부 관계자들이 배워야할 대목이다.
잘 개발된 태원시 영택구 종루거리.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식당 앞에서 기념사진을 찍은 양영생 태원시 외사부주임(왼쪽)과 권기식 회장.
태원시 외사판공실 양영생 부주임이 기다리고 있다가 산서성 예술가 모임에 초대했다. 산서성 최고의 예술인들이 모여 여러 서예작품을 써서 기증하는 데 정신이 없을 정도였다. 서예작품 기증식 이후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식당인 청화원(淸和元ㆍ1632년 창립)에 초대돼 산서성 주요인사 20여명과 만찬을 함께 했다. 잣만 먹는다는 특별한 양고기 료리는 더없이 맛있었고 한중 친구들의 우정은 짧은 밤을 재촉했다. 밤은 깊은 데 한중 우호를 위한 덕담은 그칠 줄을 몰랐다. 중국 친구의 마지막 건배사는 '중한우호 전승만대(中韓友好傳承萬代)'였다. 그들은 내게 마음을 주었다.
필자/권기식 한중도시우호협회장(서울 미디어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