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21일에 올해 삼복중 중복을 맞이하는데 속담에 '여름에는 삼복, 더위는 중복'이라는 말이 있듯이 전국 각지의 기온도를 보면 ‘붉은색’ 천지이다.
천진의 민속전문가, 전문란 작가 유국경의 소개에 따르면 삼복은 초복, 중복, 말복으로 나뉘고 그중 중복은 이복이라고도 하는데 10일 또는 20일일 수 있다고 한다. 올해 중복은 20일이며 7월 21일부터 8월 9일까지 일반적으로 '쌍중복(双中伏)' 또는 '이중복(俩中伏)'으로 부른다.
중복에 진입해 우리 나라 대부분 지역은 1년중 가장 더운 시기에 이르지만 각종 기후요인의 영향으로 각지의 극단고온이 중복 또는 삼복에 반드시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중복은 마침 소서와 대서 사이에 있고 민간에서는 “소서에 대서까지 이어지면 더워서 피할 곳이 없다,” “소서대서, 우선 찌는듯한 더위 나중에는 삶은듯한 더위” 등의 말들이 있는데 고온, 고습, 고열의 날씨는 찜통 속에 있는 것과 같은 느낌을 준다.
중복은 대체 얼마나 더울가? 우리 나라 민간에는 “첫 복날에 이복 더위” 등의 옛말이 있는데 중복의 더위를 짐작할 수 있다.
하지를 맞아 국수를 먹고 이복에도 국수를 먹어야 하는데 왜 더운 여름에 국수를 먹을가? 유국경은 하지의 국수는 또 입복면이라고도 하는바 이 두계절에 먹는 면은 대부분이 수면, 량면, 랭면, 초염면이 주를 이루며 상쾌하고 식욕을 돋우고 더위를 식혀준다고 소개했다. ‘열로 열을 방출하는’ 뜨거운 국수를 좋아하는 사람도 있는데 이는 땀을 흘려 체내의 더위와 습기를 방출하기 때문이다.
출처: 인민넷조문판
편집: 전영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