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덕진(景德镇) 명∙청 시대 궁중 가마터 유적'과 '도계천(陶溪川) 문화창작거리구역'은 약 3㎞ 간격을 두고 강서(江西)성 경덕진시 주산(珠山)대로에 위치해 있다. 과거 두 곳은 중국 력사의 각기 다른 시기에 도자기를 제조하던 곳으로 오늘날 사람들은 이곳에서 도자기 공예의 '비밀'을 파헤치고 있다.
경덕진 명∙청 시대 궁중 가마터 유적 안에 자리잡은 경덕진 궁중 가마 박물관은 가장 눈에 띄는 랜드마크로 많은 관광객이 찾는 핫플레이스로 떠올랐다.
로령(鲁玲) 도슨트는 "이곳 도자기 대부분이 경덕진 명∙청 시대 궁중 가마터 유적에서 출토된 도자기 조각을 가지고 복원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소중한 유산인 도자기 조각에는 심오한 비밀이 많이 담겨 있다며, 이를 통해 전통 도자기 산업의 발전 흐름을 엿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주산대로를 따라 동쪽으로 향하면 현대 도자기 산업의 발자취를 볼 수 있다. 지난 1958년에 설립된 경덕진 국영우주(宇宙)자기공장은 이제 도계천 문화창작거리구역으로 탈바꿈했다. 원료 작업장, 소성 작업장, 포장 창고 등 22개 로후 작업장은 이제 도자기 생산 산업사슬을 완비한 경덕진 특유의 공업 유적지로 거듭났다.
특히 도자기 소성 작업장을 개조해 만든 경덕진 도자기공업유산 박물관에선 광석차∙파쇄기 등 전시품을 통해 징더전의 현대 도자기 제조 공예를 리해할 수 있다. 그중 원형 가마, 터널 가마에서부터 셔틀식 가마에 이르기까지 가마의 지속적인 세대교체는 경덕진 현대 도자기 제조 기술의 발전상을 한눈에 보여준다.
이뿐만 아니라 도계천 문화창의거리구역에서는 '젊음'과 '국제화'를 몸소 느낄 수 있다. 지난 10년간 로후 작업장은 청년 창업자를 육성하는 공간으로, 수공예자를 양성하는 작업실로 혹은 도자기 상품을 전시하는 라이브 커머스 기지로 변모했다.
경덕진 도자기 제조 기술의 '비밀' 역시 하나둘씩 밝혀지고 있다. 경덕진 궁중 가마 박물원에서는 과학연구원들이 정밀 기기를 통해 도자기 조각 표본에서 공예 및 배합 방식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경덕진 궁중 가마 박물원은 국내 최고 대학 및 연구기관과 협력해 이미 출토된 고대 도자기 조각 약 2000만 개를 기반으로 고대 도자기 유전자풀을 키워 나가고 있다.
옹언준(翁彦俊) 경덕진 궁중 가마 박물원 원장은 "당시 도자기 소성 공예, 원료 배합 등 고대 도자기 표본을 복원해 징더전 천년 도자기 공법의 미스터리를 찾아내는 것에 고대 도자기 유전자풀의 가치가 있다"고 강조했다.
출처: 인민망 한국어판
편집: 왕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