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유자보다 높은 영양가와 새콤달콤한 식감을 자랑하는 자몽은 육즙도 풍부한 인기 과일이다. 그러나 주목해야 할 점은, 자몽은 풍부한 식용 가치 외에도 "약물의 공적"으로도 알려져 있다. 자몽은 100종에 가까운 심장 혈관 약물과 상호 작용이 있어 간혹 "독"이 될 수도 있다.
자몽은 왜 보이지 않는“킬러”라고 불리울가?
일반적인 상황에서 우리가 일부 약물과 음식물을 동시에 복용할 경우 약효의 활성과 유효성은 일정한 정도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일부 경우에는 협동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를테면 약효의 흡수를 촉진하고 약효를 증강시킬 수 있다. 반면 일부 과일과 약물을 함께 먹으면 약효가 낮아지거나 약물의 부작용이 증가되며 독성 작용이 생길수도 있다.
그렇다면 어떤 약물과 자몽을 함께 먹지 말아야 할가?
"카나다 의학회지"에 발표된 론문에 따르면 자몽은 85가지 약물과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그중 45가지는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킨다고 한다.
현재 보도가 많이 된 약물은 혈압강하제인 디히드로피리딘계 칼슘채널차단제이다. 이 약을 자몽과 함께 복용하면 저혈압을 쉽게 유발하여 경할 경우 어지러움이나 당황감, 무기력증을 유발하고 심하면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을 유발할 수도 있다.
자몽과 지방 저하 약물인 디프틴, 리피토 등을 함께 먹으면 간과 근육 손상을 증가시켜 근육통이나 횡문근용해증 등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횡문근용해증 환자의 30%는 급성신부전증을 일으키기도 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이밖에 자몽과 부분적인 뇌혈관 약물인 니모디핀을 함께 먹으면 약물중 디히드로피리딘의 산화대사를 억제하게 되며 혈중 약물의 농도가 증가하여 전신 저혈압을 초래하고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출처: 중국조선어방송넷
편집: 왕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