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드름이 잘 생기는 계절 ‘여름’이다. 여름에는 높은 기온 때문에 피지와 땀이 늘어나 여드름이 잘 난다. 실제 온도가 1도 올라가면 피지 분비율이 10%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다. 게다가 코로나19로 인한 마스크 착용이 피부 마찰을 일으켜 여드름을 더 악화하는 요즘이다. ‘여드름의 계절’을 맞아 관련 궁금증을 풀어본다.
-손으로 피부 만지면 여드름 생긴다?
YES. 여러 세균이 득실거리는 손으로 피부를 만지면 모낭 주변 염증이 발생하면서 ‘염증성 여드름’이 생길 수 있다. 특히 여러 세균 중 씨아크네(C.acne)는 피지 분비가 왕성한 곳에 머물면서 피부 염증 세포를 자극해 염증을 유발한다. 손으로 피부를 자극하는 행위 자체도 여드름을 유발할 수 있다. 여드름이 난 곳에 자극을 가하면 피부 장벽이 손상되는데 장벽이 손상되면 피부의 유·수분 균형이 깨지기 때문이다.
-여드름 짜면 점이 된다?
NO. 여드름과 점은 별개의 문제다. 의정부을지대병원 피부과 한별 교수는 “가끔 여드름을 짰을 때 점이 됐다고 말하는 환자들이 많지만, 실제로 여드름이 점이 되진 않는다”며 “여드름을 짜고 난 다음 생긴 검붉은 흉터가 점처럼 보이는 것이거나, 우연히 그 위치에 여드름과 관계없는 점이 생긴 것일 뿐”이라고 말했다.
-안 짤수록 빨리 낫는다?
상황에 따라 다르다. 여드름 중에서 면포성 여드름이나, 액체 고름이 차있는 염증성 여드름은 내버려두면 더 커질 수 있기 때문에 병원에서 깨끗하게 소독 후 압출해야 한다. 면포성 여드름이란, 좁쌀 만 한 알갱이가 돋아나는 여드름을 말한다. 반대로 고름이 단단한 염증성 여드름은 압출하면 더 커질 위험이 있다. 한별 교수는 “여드름 압출 필요 여부는 일반인들은 맨눈으로 판단하기 어려워서 피부과를 방문해 의사와 상담해야 한다”고 말했다.
-클렌징 오일을 쓰는 게 좋다?
NO. 여드름이 난 부위에 화장한 후 지울 때 클렌징 오일보다는 클렌징 로션이나 크림 제형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한별 교수는 “클렌징 오일을 이용하게 되면 피부 장벽에 있는 정상적인 오일마저도 씻어낼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여드름이 더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비누로 깨끗이 씻어내야 한다?
NO. 시중에 파는 고체비누 대다수는 알칼리성을 띄고 있는데, 피부는 반대로 약산성이다. 고체비누를 피부에 문지르면 피부의 pH균형이 깨져 피부 장벽이 손상될 수 있다. 그리고 피부를 세게 문질러 씻는 것도 물리적인 자극을 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피부 장벽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비누로 세게 씻기보다, 폼 제형의 약산성 제품을 이용해 하루 2회 세안하는 것이 좋다. 또 ‘논-코메도제닉(non-comedogenic)’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여드름 피부 보호에 좋다. 논-코메도제닉 제품은 모공을 막지 않는 성분으로 구성된 화장품으로 여드름을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졌다.
출처: 종합
편집: 왕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