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이버시 보호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대중들은 전화, 주소, 신분증 정보오 같은 눈에 보이는 프라이버시에 대해 이미 각별히 신경쓰고 있다. 하지만 채팅 사진, 원본 사진(原图) 등 보이지 않는 프라이버시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한 중시를 일으키지 못했다.
최근 #사진 한장에 얼마나 많은 프라이버시 로출되나#라는 화제가 실시간 검색어에 올라 관심과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단체 채팅 시 원본 사진을 무작위로 발송하면 집주소 등이 로출된다! 이는 정말일가?
사실 단체 채팅에서 원본 사진을 보내는 것 외에도 문자나 메일, 또는 기타 전송도구로 오리지널 사진을 보내도 모두 부수적인 정보까지 함께 발송된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휴대폰 카메라로 기록하는데 모든 사진에는 상세한 Exif 정보가 들어있다. (디지털 사진의 속성 정보와 촬영 데터를 기록할 수 있다)
만약 원본 사진을 발송하면 사진속의 Exif 정보도 남김없이 전해지게 되고 그 누구든 기종 모델, 렌즈 계수, 촬영시간, 지리위치 정보를 모두 읽을 수 있다.
례를 들어 자택의 창문가에서 한장의 풍경사진을 찍은 후 원본 사진을 단체채팅에 올린다면 단체그룹의 모든 낯선 사람에게 GPS 위치정보를 공개하는게 되며 심지어 촬영시간과 각도를 분석하여 당신 집의 층수와 번지수를 정확하게 추정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문자나 메일로 전송된 원본 사진도 똑같이 이러한 정보를 로출할 수 있다.
그럼 이러한 문제를 어떻게 피할 수 있을가?
원본 사진의 류출을 피할 방법은 없을가? 우선 먼저 모르는 사람들과의 단체채팅에서 사생활에 대한 방범의식을 수립하고 될수록 현장 사진을 발송하지 않으며 발송할 때도 원본사진을 체크하여 선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 일부 휴대전화 업체들은 프라이버시 류출 위험에 주목해 운영시스템 차원에서 안전하게 프라이버시 지우기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이 보다 안전하게 인터넷 소통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위챗운영팀에서도 이에 대해 응답
오늘날 어떤 스마트폰이든 촬영한 사진에는 모두 Exif 계수가 포함되여 있어 GPS 위성항법장치 데터를 호출하여 사진속에 위치, 시간 등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당신이 위챗, 문자, 메일, 또는 다른 전송수단으로 원본사진을 보내더라도 부수적인 정보를 함께 보내게 된다. 하지만 모멘트에 올리는 사진은 모두 시스템에 의해 자동 압축돼 위치 등의 정보가 없다.
정말 걱정된면 원본 사진을 보내지 않거나 위치추적을 닫으면 된다. 또 한가지 필살기는 원본사진을 포토샵한 후 보내는 것이다.
어쨌든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① 원본사진 발송을 피한다. ② 반드시 원본사진을 발송해야 한다면 휴대폰 위치추적기능을 꺼야 한다. ③필살기: 포토샵
출처: 인민넷 조문판
편집: 전영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