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이 오래 이어지면서 손소독제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다. 그런데 손소독제를 쓸 때마다 손이 '따끔'거리는 사람들이 있다. 리유가 뭘까?
우선 손에 상처가 있을 확률이 크다. 손소독제 속 알코올이 상처를 자극하면 통증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손소독제 사용 후 손이 따끔거리면 그 부위 상처가 있는지 확인하고 연고를 바르는 등의 조치를 해야 한다.
상처가 없는데도 따끔거릴 수 있다. 소독제 속 알코올이 각질층 세포막을 녹이는데, 이로 인해 미세 손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손은 땀샘이 없어 피부를 보호하는 지질 성분이 부족해 각질층이 더 잘 벗겨진다.
실제 피부과 전문의들의 말에 따르면 손소독제가 널리 쓰이기 시작한 뒤 손에 생긴 피부염 때문에 병원을 찾는 환자가 늘고 있다.
따라서 눈에 보이는 상처가 없더라도 손소독제 사용 후 따끔거리는 통증이 있다면 유성(油性) 성분의 핸드크림이나 바셀린을 발라줘야 한다.
또한 손소독제를 바를 때 통증이 있다면 손소독제보다는 물과 비누로 손을 씻는 것이 피부염을 예방하는 방법이다. 어쩔 수 없이 손소독제를 써야 한다면 알코올 농도가 비교적 적은 제품을 쓰는 것이 좋다.
출처: 종합
편집: 왕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