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월 4일은 북경동계패럴림픽이 정식 개막일 이다. 동계올림픽에서 동계패럴림픽에 이르기까지 경기장과 선수촌은 열정으로 충만되여있고 방방곡곡에서 온 손님들을 반겨주고 있다. 동계패럴림픽선수촌 곳곳에서 느낄 수 있는 따뜻한 배려들을 찾아보자.
음식—진심어린 성의
북경동계올림픽 기간에 동계올림픽 선수촌 음식점은 국내외 선수들의 호평을 받았다. 동계패럴림픽 선수촌 식당의 세부적 부분을 통해 동계패럴림픽 선수들에 대한 주최측의 인문 관심을 느낄 수 있다.
“우 리는 식탁수를 조정하여 가로, 세로 두대의 휠체어가 동시에 통과 되도록 했다. 식탁 높이를 5~6cm 높여 훨체어를 사용하는 선수들이 자기의 훨체어를 식탁 밑으로 밀어넣을 수 있게 했다.” 연경 동계패럴림픽 선수촌 업무 분야 경리 고설매는 이 같이 소개했다.
선수촌 개방 첫날 연경 동계패럴림픽 선수촌 식당에 들어서니 식탁 높이가 높아지고 식탁수를 줄였으며 전자 메뉴가 추가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주숙—따뜻한 설계
동계패럴림픽 기간 선수들의 ‘집’ 역할을 하게 될 동계패럴림픽 선수 아빠트를 설계할 때 여러가지 문제들을 고려해 설계했다. 선수 아빠트에 들어서면 무장애 시설들을 곳곳에서 볼 수 있었다.
복 도와 실내 지면은 미끄럼 방지 재료를 사용했고 방안 내부 공간은 훨체어를 회전할 수 있게 하여 통행에 편리를 제공했다. 모든 문은 한쪽 팔로 조작이 가능한 미닫이 문으로 설치했으며 화장실에는 무장애 샤와 시설이 설치되여 있다. 안전 손잡이, 샤와 걸상, 높고 낮은 옷걸이, 낮은 샤와기, 정리대 등 생활 시설이 구전하게 준비되여있었다.
침 대 다리 높이는 동계올림픽 기간에 사용했던 침대보다 10센치메터 낮추어 훨체어를 사용하는 선수들에게 편리를 제공했다. 침대머리 쿠션(垫子) 한면에는 북경동계패럴림픽 휘장 ‘비약(飞跃)’을 수놓았고 다른 한면에는 북경동계패럴림픽 마스코트 ‘쉐룽룽’을 수놓았다.
출행—밀착 서비스
각 대표단은 선수촌에 들어선 후 로비에서 관련 일군들에게 수속을 맡긴 후 거주 구역으로 들어설 수 있는데 문 앞에는 전용 전기 차가 대표단 성원들을 접대하게 했다. 선수들의 출행에 편리를 주고저 동계패럴림픽 선수촌 내 아빠트, 헬스장, 오락 중심, 광장 구역에 모두 시설 설비 전환과 림시 무장애 시설들을 설치해놓았다.
이 밖에 동계패럴림픽 기간에 특수한 ‘지원자’—안내견이 참여해 맹인 선수들에게 큰 도움을 주게 된다.
이런 안내견들은 전문 훈련을 받았기에 복잡하고 추운 환경 조건에 잘 적응하며 맹인 선수들의 독립적인 출행을 안내해줄 수 있다.
출처:길림신문
편집:김선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