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나이가 어떻게 돼요? 난 쥐띤데…. 남들이 내 나이보다 열살은 더 많게 보더라고요. 그게 다 고생해서 그래요. 택시 운전하는 남편의 돈벌이가 변변찮아 두 딸 다 대학을 못 보냈어요. 가난은 대물림한다더니… 딸들도 남편하고 같이 벌어야 겨우 먹고살 정도고…. 애를 봐줄 수밖에 없었어요. 근데 요즘은 몸까지 안 아픈 곳이 없으니까 한숨만 나와요. 딸들은 어미 아프다는 말은 귀등으로도 안 듣고. 남들은 애 봐주면 꼬박꼬박 월급처럼 돈도 준다는데 그것도 하나없고…. 남편 복이 없으니 자식 복도 없네요.”
“난 손주 봐주다가 인생이 다 갔어요. 큰딸은 내 얼굴만 보면, 전세금 올려줘야 한다며 한숨부터 쉬지를 않나, 애들 학원비가 없어서 속상하다며 죽는소리부터 합디다. 작은딸은 식당에 손님이 없어서 가게세도 못 낸다고… 우유값이며 기저귀값 벌기도 힘들다며 애만 보고 그냥 갈 때가 있어요. 어느 때는 내가 알아서 아이한테 필요한 거 사다가 먹이고 입히는데, 애 봐주는 값이라도 달라고 하면 아마 까무러칠 거예요. 이러다 우울증에 걸릴 것 같아요. 이때껏 해외려행이라고는 가본 적이 없어요. 근데 얼마 전에 큰딸이 해외려행을 간다며 애들을 좀 봐달라고 하더라고요. 할 수 없이 일찍 딸네 집에 가서 손주들을 학교에 보내고 돌아오는데 눈물이 왈칵 쏟아지더라니까요…. 뭐 하고 살았나 싶은 게…. 친구들은 해외려행을 마실 가듯 가던데… 나만 바보처럼 산 것 같아요.”
주위에 이런 처지에 놓인 분들이 의외로 많다. 젊은 부부들을 보면 맞벌이하면서 아이 돌보미를 고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때 들어가는 의외의 돈이 많다는 건 누구나 안다. 고정으로 나가는 돈 말고도 때마다 챙겨주어야 할 돈이 만만치 않다. 내 아이를 진심으로 아끼고 사랑해주길 바라는 마음으로 물질을 주는 것이다.
그러나 아이 돌보미조차 고용할 수 없는 엄마들은 친정어머니나 시어머니에게 신세를 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로년 육아 우울증에 시달리는 할머니들이 늘고 있다. 내 몸이 아프고 힘겨우면 아무리 손주가 예뻐도 만사가 귀찮다. 거기다 물질적으로 아무런 보상조차 없을 때 오는 허탈감은 치사한 것 같지만 엄청나게 크다.
딸이 힘든 가운데서도 조금의 성의 표시라도 했다면 할머니가 우울의 늪에서 허우적거리지는 않았을 것이다. 딸이 아이 돌보미를 고용했다면 어땠을까? 아이 돌보미에게 줘야 할 돈의 반만이라도 친정어머니께 챙겨드리는 것이 도리 아닐까?
물론 친정엄마에게 아무런 대가 없이 아이를 맡긴 딸의 처지도 리해가 된다. 한 달 내내 몸이 부서져라 식당 일을 해도 가게세 내고 재료값 빼면, 아기 우유값도 벌기 어렵다니 말이다. 우리 젊은 세대의 팍팍한 삶의 모습을 보는 것 같아 가슴 아프다.
/요다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