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룡강신문=할빈) 흑룡강, 길림 두 성의 코로나19 확진자와 호북 확진자의 차이점은 무엇일가?
지난 19일, 국가보건건강위원회 구조전문가팀 성원인 구해파가 '뉴스1+1'프로에서 그 차이에 대해 상세하게 해석했다.
첫째, 유전자 염기서렬분석 차원에서 볼 때 길림성과 흑룡강성의 확진자 다수가 역류입 관련 병례로, 역류입 병례의 바이러스와 완전한 일치성을 갖고 있어 호북 본토 병례 바이러스와는 차이가 있다.
둘째, 림상 표현으로부터 볼 때, 흑룡강과 길림 두 성의 확진병례는 발병경력 잠복기가 비교적 긴데다 환자에게 아무런 증상도 나타나지 않아 일부 가정의 밀집성 전파를 초래하게 된 것이다.
셋째, 흑룡강성과 길림성 확진자의 림상증상이 대표적이지 않다. 발열환자가 많지 않다. 일부 병례는 아예 발열현상이 없고 다만 나른함이나 약간의 인후통 정도의 증상만 나타났다. 반면, 무한 확진자는 여러 장기의 손상이 주된 림상 표현이다. 페뿐만 아니라 심근, 신장, 장도 손상이 동반된다. 그러나 역류입 병례는 페손상이 주된 표현으로, 심장 손상이나 트로포닌(肌酐蛋白)손상, 신장과 장도 손상 현상이 극히 적다. 따라서 흑룡강성과 길림성의 확진자는 페손상이 주된 림상 표현이며 여러 장기가 아니라 단일 장기의 손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넷째, 흑룡강성과 길림성의 확진병례는 보균기간이 비교적 길다. 무한 확진자의 경우 보편적으로 증상이 나타난 후 일주일 길어서 2주일이면 핵산수치가 음성으로 돌아온다. 그러나 흑룡강과 길림성의 역류입 련관 병례의 핵산 음성 전환속도는 비교적 늦다. 다행히도 흑룡강성과 길림성의 중증병례 비률이 무한보다 낮고 중증병례로 넘어가는 비률도 10%미만이라는 점이다. 또 치료효과도 좋은 편이기 때문에 중의치료를 비슷해 환자의 항바이러스치료에 더욱 자신감이 생긴다.
출처=CCTV.com
편역=본사 뉴미디어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