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눈에 윤활유 작용을 하는 눈물이 마른 상태에서 컴퓨터 모니터에서 나오는 빛의 자극을 받거나 운전을 할 때처럼 눈에 모든 신경이 집중 될 때면 안구건조증 증상은 더욱 심해집니다. 이런 원인 외에도 환경적 요인도 안구건조증의 원인이 됩니다. 특히 대기오염에 의한 노출과 건조한 날씨가 가장 큰 원인입니다. 난방이 잘 되는 밀폐 된 공간은 습도 저하와 환기 부족으로 눈이 건조해지기 쉽기 때문이죠. 또한 눈에 피로가 쌓여 눈의 기능이 떨어지면서 안구건조증에 쉽게 걸리곤 합니다.
 
       누구나 하루에 한번쯤 눈의 뻑뻑함과 피로감을 느끼기 마련입니다. 그럴 때면 안구건조증이 아닐까 의심을 해보게 되는데요. 단순한 눈의 피로와 안구건조증은 다르기 때문에 다음의 증상을 확인하셔서 안구건조증이 의심된다면 빠른 시일 내에 전문의와 상담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1. 눈에 모래가 들어간 것처럼 뻑뻑하다.
  2. 눈의 침침함이 계속 된다.
  3. 눈의 피로가 쉽게 풀리지 않는다.
  4. 눈이 쉽게 충열 된다.
  5. 자고 일어났을 때 눈을 뜨기 힘들다.
  6. 심할 때는 눈이 빠질 것처럼 아프고 두통을 동반한다.
  7. 눈부심이 있고 눈이 자꾸 감긴다.
  8. 실 같은 분비물이 생긴다.9. 독서를 하거나 컴퓨터 작업을 하기가 견디기 어렵다.
  위의 증상은 안구건조증의 대표적인 증상들입니다. 눈에 무리를 주다 보면 일시적으로 이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지만 이런 증상들이 계속된다면 안구건조증임을 의심해보고 병원을 찾는 것이 좋겠죠?


        눈의 건조함을 느낄 때 많은 사람들이 인공눈물과 같은 안약을 넣습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이런 의약품들은 안구건조증을 치료해줄 수 없습니다. 인공눈물은 눈물의 양을 보충해주거나 눈물의 증발을 지연시키는 약이지 치료제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안구건조증을 비롯한 눈의 질환은 대부분 단기간에 치료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치료 기간 중에도 외부의 자극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안구건조증은 평소 나쁜 습관을 고쳐나가 미리 예방하는 것이 최선의 치료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