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탁례절
1. 식탁례절의 개요
우리의 식탁례절이라고 하면 식사의 내용에 따라 여러 가지로 세분할수 있다. 특히 요사이는 우리의 고유식사, 중국음식, 서양음식, 일본음식, 과학문명의 발달에 의한 각종 인스턴트(즉석, 즉각) 음식 등이 혼재되고 있어 여러 가지 형태로 나누어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원래의 식사례절의 기본은 같은 것이다.
2. 상차림
1. 식탁의 차림은 먹는 사람에게 편리하게 차린다.
2. 기본음식인 밥은 양(陽)성이기 때문에 먹는 사람의 왼쪽 앞에 놓고, 국은 음(陰)성이기 때문에 오른쪽에 놓는다.
3. 숟가락과 젓가락은 우리는 우수상용족(右手常用族)이기 때문에 먹는 사람의(국그릇의) 오른쪽에, 숟가락을 앞에 젓가락을 뒤에 놓는다.
4. 간장, 고추장 등 기본이 되는 공통 조미료는 상의 중앙이나 먹는 사람의 앞에 놓는다. 여러 사람이 함께 먹을 때는 사람마다 그 앞에 따로 놓기도 한다.
5. 수육과 젓, 어회와 초고추장 또는 겨자, 부침과 초간장 같이 특정음식과 관계되는 조미료는 주된 식품 그릇의 옆에 놓거나 사람마다 따로 놓는다.
6. 국물이 있는 음식은 먹는 이에게 가깝게 놓고 국물이 없는 음식은 멀리 놓는다.
7. 부피가 적고 높이가 낮은 음식그릇은 먹는 이에게 가깝게 놓고 크거나 높은 음식그릇은 멀리 놓는다.
8. 식어도 관계없는 음식은 미리 차리고, 뜨겁게 먹는 음식은 먹기직전에 상에 올린다.
9. 한 그릇의 음식을 여럿이 함께 먹어야 할 음식은 덜어 먹을 수 있도록 빈 접시를 놓는다.
10. 음식에서 나오는 이물질이나 생선가시, 고기뼈 등을 담을 빈 그릇을 놓는다.
11. 그릇에다 입을 대야 먹는 음식은 반드시 사람마다 따로 놓는다(국, 물).
12. 국물이 있는 음식을 차릴 경우는 먹는 이가 무릎 위나 앞자락에 펴는 펼수건을 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