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신(參神)
고인의 신위에 인사하는 절차로서 모든 참사자가 일제히 두번 절한다. 미리 제찬을 진설하지 않고 참신뒤에 진찬(進饌)이라 하여 제찬을 올리기도 한다.
초헌(初獻)
제주가 첫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 제주가 신위앞으로 나아가 꿇어앉아 분향한다. 집사가 잔을 제주에게 주고 술을 가득 붓는다. 제주는 오른손으로 잔을 들어 향불우에 세번 돌리고 모사그릇에 조금씩 세번 부은다음 두손으로 받들어 집사에게 준다. 집사는 그것을 받아서 메그릇과 갱그릇사이 앞쪽에 놓고 저(수저)를 고른후 재배한다.
독축(讀祝)
축문을 읽는것. 축문은 초헌이 끝난다음, 제주와 모든 상제가 꿇어앉고, 제주옆에 축관이 앉아서 엄숙한 목청으로 천천히 크게 읽는다. 축문을 읽고나면 일동은 곡을 하고, 조금 있다가 모두 일어나 두번 절을 한다.
아헌(亞獻)
두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으로 원래는 주부가 올린다. 주부가 올리기 어려운 경우에는 제주의 다음가는 근친자가 올린다. 절차는 초헌때와 같으나 모사에 술을 따르지 않는다. 주부는 네번 절한다.
종헌(終獻)
세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 아헌자의 다음가는 근친자가 아헌때와 같이 한다. 잔은 7부쯤 부어서 올린다.
(添酌)
'유식(侑食)'이라고도 한다. 초헌자가 다시 신위앞에 꿇어앉으면, 우집사가 다른 술잔에 술을 조금 부어 초헌자에게 준다. 이것을 받아 종헌자가 드릴 때 채우지 않은 잔에 세번에 나누어 채우고 두번 절한다.
계반삽시
(啓飯揷匙)
메그릇의 뚜껑을 열어 수저를 꽂는것으로 '삽시정저(揷匙正箸)'라고도 한다. 제주가 수저바닥이 동쪽으로 향하게 하여 꽂고 제주는 두번, 주부는 네번 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