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꽂이는 쪽진 머리뒤에 덧꽂는 비녀외의 장식물인데 뒤꽂이에는 국화, 매화, 꽃나비, 연봉, 천도, 봉 등 다양한 형태의 뒤꽂이가 있었다. 이밖에 실용성을 겸한 귀이개, 빛치개 등도 머리에 꽂아 장식하였다.
녀자들의 몸치례장식품에서 중요한 것은 허리띠와 노리개였다. 노리개는 금, 은, 옥으로 수, 부, 귀 등 글자모양이나 박쥐, 토끼, 가지나 고추 따위 모양을 만들어 색실로 매듭을 짓고 삼색술을 늘이여 저고리의 고름에나 치마속에 차는 녀자들의 몸치례장식품이다. 노리개는 그 형태가 여러가지였다. 한 개로 된 단작, 세개를 한꺼번에 쓰는 3작, 또는 4작, 5작도있었다. 일상옷차림에서는 보통 3작을 찼고 례식이나 행사때에는 4작, 5작도 찼다. 노리개에서 특별한 것은 향을 넣은 옥북향이였다. 옥북향은 흰옥, 비취, 산호, 금, 은 등으로 만들었는데 방형, 원형에 당초무늬, 꽃무늬, 새무늬 등을 새겼다. 이밖에 방아다리, 산호가지, 불수, 옥투호, 삼천주, 나비, 범발톱 등의 노리개도 있었는데 이것은 모두 그 형태를 보고 달아준 이름들이였다. 방아다리는 두 귀이개를 백옥 또는 비취, 금, 은으로 만든것이고 산호가지는 붉은빛산호가지를 본래의 형태대로 빛을 내게 만든것이며 불수는 밀화로 불수강의 형태를 본따 만든것으로서 밀화불수라고 하였다. 옥투호는 비취, 지만옥으로 투호(화살을 던져 꽂는 경기를 하는데 쓰는 통)모양을 본따 만든것이며 삼천주는 비취, 밀화로 둥근 구슬 또는 납작구슬을 만든것이다. 이상의 노리개는 곱게 땋은 색실에 꿰여 정교한 것은 옷고름에 차고 투박한 것은 엷은 치마속에 차서 밖으로 곱게 비쳐보이도록 하였다.
이밖에 팔과 손에 장식하는 장식품으로 팔찌와 가락지 등이 있었고 장식옥구슬과 장식단추 따위의 옷치레거리도 있었다.
우리 민족의 장식품에는 남자들이 즐긴것도 있으나 녀자들에게 필요한 것이 더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