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란에도 뼈가 있다.(1)
지금으로부터 약 550여년 전, 이조 세종임금 때.
그 조정에 황희라는 정승 한 분이 있었는데 천성이 청령하다보니 가세 또한 청빈하게 그지 없었다. 하루는 세종 임금이 그 청빈 허실을 탐문, 확인하고저 감쪽같이 황정승댁으로 승교 행차하게 되었다.
어가가 들이닥친 때 황정승 댁에는 부인과 따님 둘이 있었는데, 상례에 따르면 세 여인이 동시에 나와 선후 차례로 인사를 개여올릴것이나, 이상하게도 황정승부인이 먼저 나와 인사하고 들어가자 한참있어 맏따님이 나오고 맏따님이 들어가자 한참 있어 둘째 따님이 나오는 것이었다.
세종 임금이 하도 이상하여 그 연유를 알아보았더니 세 여인 모두 나들이옷 치마 하나를 윤번으로 입고 나오느라고 그랬던 것이다.
《오, 짐이 듣던 바와 일점불차 극빈하도다.》
회궁한 세종 임금은 이제 어떻게 하면 이 정승댁의 가세를 펴우도록 하겠는가를 곰곰 궁리하다 못해 하루는 한 묘안을 생각해 내고 하정 후 황희정승을 조용히 불렀다.
《짐이 보아하니 경의 가세 극빈한지라. 이제 한 수로서 경을 돕고저하니 경의 의향은 어떤고?》
허나, 그 말을 곱게 받아드릴 황희가 아니었다.
《전하! 하해같이 생각해 주시는 그 은총 고마웁기 그지 없으나 청빈함이 오히려 마음 편하거늘 그 상념을 걷우시옵소서!》
그러자, 세종 임금은 허허 웃고, 《아니로다. 가세가 그렇듯 청빈하고서야 어찌 국사에 진력할 수 있겠는고? 더구나 이번 수는 결코 백성을 추후도 해하지 않노니 방심을 하라!》
《전하, 그럼 대체 무슨 신묘한 수라도 있나이까?》
《이제, 장날 두 날을 정하여 서울의 남, 서, 동 세 대문에 사람을 파하여 지켜 섰다가 팔려 들어오는 씀직한 물건을 죄다 경이 차지하도록 하리로다!》
그 말을 들은 황희 정승은 천부당만부당이라 펄쩍 뛰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