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내수시장 자극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자동차 번호판 할당 시스템을 개선하기로 했다. 기존의 '구매 제한 기반'의 자동차 소비 정책에서 '사용 관리 정책'으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1월 북경 교통부문은 올해 자동차 번호판을 10만 개 배정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중 8만 개는 신에너지차에 할당했다.
특히 북경은 올해 자동차가 없는 가구를 위해 4만 대의 신에너지차 번호판을 추가 발급할 예정이다.
천진(天津) 역시 지난해 자동차 없는 가구를 대상으로 한 3만 개의 번호판 발급 계획을 발표했다. 절강(浙江)성 항주(杭州)시는 자격 기준을 완화해 최소 48회 이상 신청에 실패한 개인이 대체 자동차 번호판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중국의 경제 허브 도시인 상해는 지난해 말 상해 호적이 아닌 거주자의 번호판 추첨 자격 조건을 사회보험 혹은 개인소득세 납부 3년에서 1년으로 줄여 번호판 추첨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가신광(賈新光) 중국자동차딜러협회(CADA) 상무리사는 지난 16일 발표된 '소비진작 특별 행동방안'에 따라 관련 도시들이 노후 차량을 거래하도록 장려함으로써 소비를 촉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와 더불어 북경, 상해, 항주 등 도시들은 기술 기반의 교통 솔루션을 내놓고 있다.
항주의 경우 인공지능(AI) '도시 브레인'이 도시의 교통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잠재적인 혼잡 상황 발생 시 경보를 발령해 교통부문이 차량 흐름에 따라 신호등을 조정할 수 있도록 했다. 또 3천700개가 넘는 주차장이 플랫폼에 련결돼 시민들의 주차 편의성이 향상됐을 뿐만 아니라 '선주차, 후지불'이 가능해짐에 따라 주차 문제로 인한 교통 체증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항주 림안(臨安)구에 거주하는 리상(李想)은 "그동안 교통체증 때문에 차량 구매를 망설였다"면서 "교통 관리가 개선되면 자동차를 구매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출처: 신화망 한국어판
편집: 장성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