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안정적인 경제 운영을 위해 실물경제에 대한 지원 강도를 확대하고 있다.
안정적 통화 정책, 8월 금융 수치 회복 '기대'
최근 안정성을 기조로 했던 통화정책에 조정의 바람이 불고 있다.
7월 금융 데이터에 따르면 광의통화(M2)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가폭이 최근 몇 년 높은 수준에 머물렀다. 반면 신규 대출 및 사회융자 규모는 모두 현저히 감소했다. 이는 통화 공급량이 충분하며 실물경제 융자 수요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반영한다.
중국인민은행(중앙은행)은 최근 실물경제 융자 비용을 낮추기 위해 1년물 중기류동성지원창구(MLF)와 7일물 역레포(역환매주건부채권)의 금리를 지난번보다 10BP(BP: Basis Point의 약자로 0.01%, 1만분의 1)씩 인하한 2.75%, 2.00%로 각각 조정했다.
왕청(王靑) 동방금성(东方金城) 수석 거시경제 애널리스트는 금리 인하 정책이 실시된 것은 안정적 성장 위주의 통화 정책이 강화됐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대출 금리가 큰 폭으로 하락하고 구조적 통화 정책툴과 신설된 정책적 금융툴이 충분히 역할을 발휘하면서 8월 금융 수치는 한층 더 회복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지난 1월 26일 산동성의 일조(日照)항 컨테이너 부두에서 하역 작업을 하고 있는 컨테이너선의 모습을 드론 사진으로 촬영했다. (사진/신화통신)
적극적인 재정정책 효과 나타나
통화정책이 탄력을 얻으면서 적극적인 재정정책 역할을 발휘하겠다는 신호가 나오고 있다.
환급∙감세는 거시경제 전반을 안정시키는 핵심 조치로 평가 받는다. 중국 재정부에 따르면 올들어 루적 환급액은 2조원을 돌파했다.
양지용(杨志勇) 중국사회과학원 재경전략연구원 부원장은 "부가가치세 이월공제∙환급세로 돌려받은 자금이 기업들의 현금 흐름을 확대시켜 시장주체의 이익 증가와 기업 투자 확대라는 효과를 가져왔다"고 평가했다.
특별채권 한도 활성화 역시 중요 조치로 꼽힌다. 지난 18일 열린 중국 국무원 상무회의에서는 지방 특별채권 한도액 활성화를 재차 강조했다.
한 전문가는 지방 특별채권 잔고 한도는 약 1조5천억원으로 시행할 사업이 많고 주로 중대 건설 사업에 사용돼 안정적인 경제 성장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고정자산 투자 확대로 안정적인 성장 도모
투자는 경제 회복을 이끄는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 올해 들어 고정자산 투자 프로젝트에 대한 중국 정부의 심사 비준 속도도 점차 빨라지고 있는 추세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에 따르면 올 1~7월 총 심사 비준된 고정자산 투자 항목 수는 총 65건, 투자액은 1조28억원에 달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심사 비준된 투자 항목 수는 48건, 투자액은 3천46억원이였다.
라국삼(罗国三)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고장자산투자사(司) 사장(국장)은 "중대 프로젝트 건설 추진은 국내 수요를 확대시켜 안정적인 경제 성장을 뒷받침해준다"며 하반기에는 관련 부서 및 각 지역과 함께 프로젝트 사전 작업에 박차를 가해 투자 확대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출처: 신화통신
편집: 전영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