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您当前的位置 : > 한민족사회 > 조선족
'자치주 60년' 연변 조선족사회의 명암
http://hljxinwen.dbw.cn  2012-09-05 09:39:17

  경제 급성장·동북 신흥거점 부상..인구 감소 부작용

  (흑룡강신문=하얼빈) 올해로 설립 60주년을 맞은 연변조선족자치주는 1952년 자치구로 출발한 이후 지난 반세기 동안 경제, 사회, 문화 등 각 분야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뤘다.

  특히 한·중 수교는 중국 동북 변방의 낙후한 농업지대였던 연변을 '천지개벽'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크게 바꿔놓는 계기가 됐다.

  연변의 조선족 동포들이 한국에서 벌어 송금한 외화는 연변 경제를 발전시키고 지탱하는 버팀목이다.

  수교 이후 한국을 다녀간 조선족은 복수 방문자를 합쳐 200만명을 훌쩍 넘어섰고 이들 상당수가 연변 출신이다.

  그러나 급격한 인구 유출은 연변 조선족 사회에 물질적 풍요를 가져온 대신 여러 사회 문제를 야기하며 새로운 과제를 안겼다.

  ◇경제 성장 뚜렷…'코리안머니' 기여 = 연변주의 지난해 지역내총생산(GRDP)은 652억위안, 1인당 생산총액은 2만 9천782위안으로 1952년 당시에 비해 각각 61배, 21.5배가 증가했다.

  재정수입은 258만위안에서 112억위안으로 늘어 연평균 15.3%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무역 규모는 수출입통계 작성을 시작한 1954년 38만달러였지만 2007년 10억달러를 돌파하고 지난해에는 18억5천만달러를 기록, 무려 5천배가 증가했다.

  이런 연변 경제의 급성장에는 한중 수교 이후 한국에서 일하는 연변 조선족이 벌어들인 외화가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다.

  한국 노무 연변 조선족의 송금액은 연간 10억 달러에 육박해 연변주 GRDP의 3분의 1가량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국에서 유입된 외화는 연변을 중국 내 소수민족 자치지역 가운데 손꼽힐 만큼 부유한 자치지역으로 탈바꿈시켰다.

  ◇물질적 풍요의 그늘…신조어 '이태백' = 한국과 중국 내 대도시로의 급격한 인구 유출은 조선족 인구 감소와 가족 해체 등 여러 문제를 일으켰다.

  연변주 주도인 연길에서는 매년 평균 1천800쌍의 부부가 이혼하고 있다. 주된 이유는 부부 한쪽이 오랜 외지생활을 하면서 생긴 불화 때문이라는 게 현지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부모와 떨어져 지내는 조선족 자녀는 탈선하는 경우가 적지 않고 취업 연령이 돼서도 취직을 하지 않거나 직장에서 오래 버티지 못해 연변에서는 '이태백(20대 태반이 백수)'이라는 신조어까지 생겼다.

  현지 언론들은 외국에 나간 부모가 연변에 혼자 남은 자식에게 미안한 마음에 중국 대졸자 초임보다 많은 매월 3천~4천위안(약 55만~75만원)을 보내다 보니 과소비와 취업 기피 풍조가 만연했다는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연길 시내 백화점에 근무하는 이모(35) 씨는 "어쩌다 취직을 해도 부모의 간섭조차 받아본 적 없는 젊은이들이 쉽게 사표를 던지고 다시 이태백으로 돌아가는 경우가 허다하다"면서 "회사와 상점마다 조선족 일손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줄어드는 조선족…자치주 지위 '흔들' = 연변 조선족들이 한국이나 대도시로 떠나면서 자치주의 지위도 위협받고 있다.

  연변주의 조선족 인구는 1995년 86만명에서 2009년 80만명으로 7%가량이 줄었다.

  1999년까지 2명을 유지했던 가임 여성의 평균 출산율이 2000년 이후 급속히 하락해 0.7명 이하로 떨어졌고 결혼 연령도 점차 높아져 고령 출산이 늘고 있다.

  청년층이 한국으로 일자리를 찾아 대거 떠난 점도 조선족 인구 감소의 원인으로 꼽힌다.

  이에 따라 연변 전체 인구에서 조선족이 차지하는 비율은 36.7%에 그치고 있다.

  조선족 자치주 건립 초기였던 1953년 조사 당시 70.5%를 차지했던 것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낮아진 것이다.

  소수민족이 차지하는 비율이 30%를 밑돌게 되면 자치주 지정이 해제될 수 있기 때문에 일각에서는 조선족 감소세가 계속되면 연변이 자치주 지위를 잃게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다가온 기회…中동북진흥 핵심지 부상 = 중국의 동쪽 끝에 위치해 조선, 러시아와 접경한 연변주는 중국 동북진흥정책의 핵심지로 떠오르고 있다.

  연변주 훈춘은 중국이 동해 항로를 확보하기 위해 사용권을 획득한 라진항과 연결되는 대북 창구이자 하산 등 러시아 극동지역과의 교역 거점이다.

  중국 국무원은 지난 4월 변경도시 가운데 유일하게 훈춘에 국가급 경제특구인 '훈춘국제합작시범구'를 지정했다.

  시범구는 전체 면적이 90㎢에 이르며 정부 차원에서 재정, 세제, 금융, 통관, 토지이용, 사회기반시설 건설 등의 분야에서 다양한 지원책을 제공한다.

  라진항을 확보해 동해 뱃길이 열린 중국은 두만강 유역 경제벨트인 '창지투(長吉圖·창춘-지린-투먼) 개방 선도구'를 건설하고 훈춘-라선을 연결고리로 삼아 이 일대를 국제적인 물류거점으로 조성하다는 구상이다.

  전문가들은 연변의 지정학적 이점을 살려 국내외 기업을 대거 유치함으로써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면 외지로 나간 조선족들이 되돌아오고 보다 공고한 공동체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연변대 경제관리학원 이종림 교수는 3일 "국가 전략인 창지투 개방 선도구와 훈춘국제합작시범구가 계획대로 착실히 추진되고 있어 연변의 전망은 매우 밝은 편"이라며 "연변에 다가온 기회를 최대한 살리는 것이 중요하며 인구 감소와 인재 유출 등의 문제점은 지역경제가 살아나면 자연스럽게 해결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연합


· 하얼빈빙설대세계 채빙축제로 들끓는 송화강반
· 中 시안-모스크바 행 첫 中欧화물열차 개통
· 사진으로 보는 남수북조(南水北调) 중선공정 현장
· '브라질 축구팀 비행기, 연료 없어 추락'…공식확인에 분노 폭발
· 주차문제로 난동 조선족, 엉뚱한 이웃에 흉기 휘둘러
· 중국교육과학연구원 북경 해정구민족소학과 합작운영
· 중국 인민페 가치 0.43% 절상…반년 만에 최대폭
· 목단강시조선족소학교 겨울철 스케트 운동 정식 시작
· '눈의 도시' 문화창달의 주렁진 열매
· [오늘의 운세] 12월 7일
·목단강시 첫 도시 터널 개통
·中美애플 힘겨루기 시동?…中소비자...
·中, 120만 위안 이상 고급차에 10% ...
·'세상에서 가장 슬픈 북극곰', 일시...
·中핫이슈 소통 강화…중대사 발생시...
포토
수지 솔로로 컴백, 리종석과 "당신이 잠든 사이에" 출연 확정
5살 꼬마경찰 "경찰은 시민을 돕는 ...
일본서 '붙이고 입는' 새로운 화장...
병아리콩의 단백질이 가득한 중동의...
동영상
기획·특집
·2015 전국인대정협특집
·시진핑 주석 방한 특집
·2014년 전국 인대 정협 회의
·당의 군중노선교육실천 활동
·제24회 중국 하얼빈국제경제무역상담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