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족사회>월드 코리언>재중한국인
 
어느 한국인의 '사랑의 집' 감동 스토리
http://hljxinwen.dbw.cn   2008-12-03 14:16:24
 
 

사회적 복지가 잘 될 때는 바로 사랑의 사회가 온다

 

"사회적 복지가 잘 될 때는 바로 사랑의 사회가 오는 시대입니다"라고 김 원장은 사회복지의 중요성을 재삼 강조하고 있다.

 

김 원장은 초창기에 그 무슨 후원의 손길을 바라거나 후원회를 세우고 이 사업을 시작한 것이 아니다.하여 당시 저 사람이 무슨 일을 하느냐 하면서 찾아 오는 사람도 별반 없었다고 한다.

 

그러나 몇 년 전부터 "사랑의 집"이 인근에 알려지면서 연길시의 부분적 학교 학생들이 자원봉사로 찾아와 봉사자들이 점차 늘기 시작, 이 학생들은 남을 도우러 왔다가 되려 인간의 됨됨과 사랑을 나누는 도리를 알게 되였다면서 작년에는 무려 천여 명의 학생들이 자원봉사자로 여기를 찾아왔단다. 지난해 방학기간에도 북경에서 공부하고 있는 연변적 대학생들이 이 "사랑의 집"을 찾아와 며칠간 자원봉사를 하고 대학에서 배우지 못한 인간애를 여기에서 되려 배우고 가니 얼마나 즐거운지 모르겠다면서 이제 시간만 나면 꼭 찾겠다고 한단다.

 

몇 년 전에 미국 청년봉사단이 이 "사랑의 집"에 왔는데 그들은 집 기초파기를 도왔던 것이다. 밤에도 등불을 켜 놓고 한삽한삽 기초흙을 파헤치면서 그들은 기초를 판다는 자체가 축복을 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했다.또 독일의 한 유지인은 상해에서 김 원장의 사업을 알고 무료로 유리를 제공함과 아울러 보온성이 아주 좋은 삼겹유리문까지 지원해 주었단다.

 

이미 70명을 이 고아원에서 "졸업"시켰는데 이들은 이 고아원에서 유치원은 물론 소학교,중학교,대학까지 마치고 사회에서 열심히 일하고 있다.매번 휴가일이나 설 명절이면 이들은 "아버지", "어머니"인 사랑의 집을 꼭 찾아 온단다.

 

현재 이 "사랑의 집"에는 68명의 고아들이 행복하게 자라고 있는데 나이가 가장 어린애는 불과 몇 달, 가장 많은 애는 20살이다.

 

기자가 찾아갔을 때 마침 며칠 전에 병원에서 버려진 애 4명을 안아왔다. 그 중 살아갈 가망이 없다는 애기를 한명 안아왔는데 김 원장의 보살핌 속에서 건강하게 자라고 있다.다른 한 아기는 언청이인데 애들의 장래를 위해 시기가 되면 제때에 수술을 해 주고 있는데 몇 차례의  성형수술을 해야 하므로 수술비용도 만만치 않다고 한다.

 

김 원장 부부는 지금도 어린 애들과 한 집을 쓰고 산다.밤마다 잠을 못 자는 것이 제일 고통스럽지만 인제 아주 습관이 되여 있단다.아이들이 곁방에서 울면 당연히 잠을 못 자는 것은 물론 보모가 일단 문만 두드리면 "아이가 잘못되지나 않아나?"하고 가슴이 철렁한단다. 그래서 밤에 아이울음소리가 들리지 않을 때에 가장 행복하단다.

 

김 원장 내외는 아이를 갖지 않았다.기자의 의아한 질문에 김 원장은 "일단 아이가 있으면 '사랑의 집' 애들이 소외감을 가질가 봐 완전히 중절수술을 했습니다"라고 대답했다.

 

며칠전에 안아온 언청이 애를 어린이들에게 얼굴 익히는 모습.

김 원장과 부인의 피타는 노력으로 지금 이 사랑의 집은 호텔도 비할바가 안된다. 그 일례로 화장실만 해도 46칸 즉 매 칸 마다 화장실과 세면실 목욕실이 있을 뿐만 아니라 어찌나 깨끗한지 신을 신고 들어가기 부끄러울 정도이고 8대의 세탁기로 어린이들의 옷을 빨고 있어 어린이마다 깨끗한 옷들을 입고 있었다.또한 아이들의 식사 메뉴는 아주 정결하게 짜여져 있다.이미 10여 년간 식당 일을 보고 있는 현지 아줌마들은 각자 아이들의 식성도 너무나도 잘 아는 전문가로 변신했단다.

 

현재 이 사랑의 집은 어린이들의 과외를 위해 수천 권의 도서들이 갖추어 져있는 도서관들이 집집마다 있고 칸칸 마다 TVRK 있는가 하면 탁구장, 놀이기구,건신기구 등 체육시설들이 아주 구전하게 갖추어져 있고 또 앞으로 고아들의 늘어남을 대비해 계속 신축공사를 하고 있다.

 

김 원장은 "이제 연변지역에서도 사회복지의 인식이 새로운 차원으로 발전해야 하며 남을 도와 나서는 것이 바로 나를 건강하게 한다는 인식전환이 절실히 필요합니다"고 하면서 "이제 나는 죽어도 원이 없고 또 죽은 다음에는 '사랑의 집' 앞산에 묻는 것이 소원"이라 했다.

 

하여 "사랑의 집" 청사를 등록할 때에 그 어느 개인의 집으로도 등록하지 말고 바로 "사랑의 집"으로 등록했다 한다.

 

/윤운걸 길림성 특파원

 
'별자리' 모델쇼 산시 타이위...
빅토리아 시크릿 패션 쇼, 중...
‘2014 미스투어리즘 퀸 인터...
2015봄여름계열 국제패션주간...
‘2014 미스 중화 세계선발대...
 
·미국 달구는 '시크릿 산타', 한화 1...
·들깨 가루의 위험성!
·조선족 안무가 손룡규의 무용작품
·미국인들은 천재인가,,,,,바보인가,...
·콘돔, 언제 많이 팔렸나 봤더니?
 
Can not find mark:chnavor_blog
 
·앞서가는 성교육 교재, 왜 탈 많나
·한국 영화 '황해'에 비친 재한...
·"아이패드 없으면 강의 듣지마"...
Can not find mark:chnavor_layer_qrsc
기획·특집
·시진핑 주석 방한 특집
·2014년 전국 인대 정협 회의
·당의 군중노선교육실천 활동
·제24회 중국 하얼빈국제경제무역상...
·중국 꿈
포토
동영상
·칭하이 위수현 7.1규모 강진
·조선전장에서의 팽덕회 장군
·실제 촬영-개를 삼킨 바다 괴물
·KBS열린음악회 성황리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