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할아버지, 외할머니
≪외할아버지(님)≫, ≪외할머니(님)≫라고 부르며 편지에서는 ≪외조부≫, ≪외외부님≫, ≪외조모≫, ≪외조모님≫이라고 쓰기도 한다. 남에게 이를 경우도 이와 같다. ≪외증조≫, ≪외종조≫는 ≪증조≫, ≪종조≫와 같이 부르되 ≪외≫가 덧붙을따름이다.
∇외숙
≪외삼촌≫ 또는 ≪아저씨≫라고 부른다. 또 ≪큰아버지(어머니의 오빠)≫, ≪작은아버지(어머니의 남동생)≫라고 부른다. 편지에서나 남에게 이를 때에는 ≪외삼촌≫, ≪외숙부≫ 라고 한다.
∇외숙모
≪아주머니≫, ≪아주머님≫, ≪외숙모≫라고 부른다. 남에게 이를 때는 ≪(우리)외숙모≫라고 한다. 남의 외숙모를 ≪외삼촌댁≫이라고 하기도 하는데 높이는 말이 못된다.
∇이모
≪이모≫라고 부르며 출가한 다음에는 ≪이모어머니≫, ≪큰어머니(어머니의 손우일 때)≫,≪작은어머니(어머니의 손아래일 때)≫라고도 부른다. 남에게 이를 때는 ≪이모≫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