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조부, 증조모
≪할아버지≫, ≪할머니≫라고 부르거나 ≪증조할아버지≫, ≪증조할머니≫라고 하면 된다. 일부 지방에서는 증조모를 ≪로할머니≫ 라고도 부른다.
∇고조부, 고조모
≪할아버지≫, ≪할머니≫라고 부르며 편지에서는 ≪종조부≫라고 하기도 한다. 남에게 말할 때도 이와 같다. 재종조,삼종조는 종조부에 준해서 부르고 조부와 같이 대접한다.
∇형
≪형님≫이라고 부르며 형이 둘일 때는 ≪큰형≫, ≪큰형님≫, ≪작은형≫, ≪작은형님≫이라 하며 형이 셋이상인 경우 ≪맏형(님)≫, ≪둘째형(님)≫, ≪셋째형(님)≫…이라고 하며 셋인 경우 ≪가운데형≫이라고 하기도 한다. 남의 어른앞에서 형을 이를 때는 ≪저의 형≫이라고 한다. 지난날에 남을 높이여 그의 형을 이를 때 ≪큰형≫을 ≪백씨≫, ≪둘째형≫을 ≪중씨≫라고 하였는데 지금은 점잖게 말할 때나 옛스러운 말에서나 더러 쓰일뿐이다.
∇형수
≪아주머니(님)≫라고 부르며 점잖게 이야기할 때는≪형수님≫이라고 한다. 남의 어른에게 형수를 이를 때는 ≪우리(저의)아주머니≫, ≪우리(저의)형수≫라고 한다.
∇아우
성을 빼고 이름을 부르는 것이 보통이며 때에 따라 ≪동생≫이라 부르기도 한다. 남의 앞에서 아우를 이를 때에는 ≪내(저의)동생≫, ≪내(저의)아우≫라고 한다. 과거에 아우를 ≪계씨≫, ≪제씨≫라고도 일렀다.
∇제수
점잖게 이야기할 때는 ≪제수님≫이라고 한다. 제수가 여럿일 때는 끝의 제수를≪계수≫라고 하기도 한다. 남에게 제수를 이를 때는 ≪우리 제수(계수)≫라고 한다.
∇누이
≪누이≫, ≪누님≫이라고 부른다. 어린아이들은 손우누이를 정답게 ≪누나≫라고 부르나 자라서는 이렇게 부르지 않는다. 손아래누이(누이동생, 녀동생)는 시집을 가기전까지는 이름을 부르는 것이 보통이다.
∇매부
손우매부는 ≪매형≫, ≪자형≫이라 하는데 ≪매형≫또는 ≪형님≫이라고 부른다. ≪매부≫란 말은 손우나 손아래 매부를 두루 이르는 말이기는 하나 주로 손아래매부를 말한다. 손아래매부를 ≪매부≫또는 경우에 따라서 이름을 부를수도 있다.